제주 인구 100만명 시대 대비해 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등 재검토 돼야
입력 2013-12-05 16:39
[쿠키 사회] 제주지역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른 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등이 재검토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인구증가에 따른 도시기반시설 확충이 불가피한 만큼 제주광역도시계획 등도 변경돼야 한다는 것이다.
제주발전연구원 이성용 연구위원은 ‘제주 인구 증가추세와 향후 과제’ 연구보고서에서 도내 인구는 2010년 57만7187명, 2011년 58만3284명, 2012년 59만2449명에 이어 올해 8월 60만명을 돌파하는 등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5일 밝혔다.
반면 ‘제2차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은 2021년 상주인구를 70만명으로 설정했고, 장기적으로 100만∼200만명을 예상하고 있다. ‘2025년 제주광역도시계획’은 2025년 상주인구를 66만명으로 설정하는 전망치를 내놓고 있다.
그러나 올해 이미 60만명을 돌파한 상태여서 도로·교통 등 도시기반시설 계획을 재산정, 100만명 시대에 대비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제주에 오는 귀농·귀촌인 중 30∼40대 비율이 높아진 점을 감안해 문화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펼치는 정착 방안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인구 증가에 따라 도시·농촌 간, 제주시·서귀포시간에 불균형이 심화될 수 있어 체계적인 균형발전 정책이 이뤄져야 한다고 보고서는 제시했다.
이성용 연구위원은 “제주지역 인구 증가가 자연적인 요인보다는 귀농 등 사회적 요인에 기인하고 있어 관련 정책이 60만명에 한정돼서는 안된다”며 “100만명 시대에 대비해 제2차 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등 상위계획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제주=국민일보 쿠키뉴스 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