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위안부 문제, 외교문제화하면 안 돼”
입력 2013-12-05 03:31
일본 외무성 이하라 준이치(伊原純一) 아시아·대양주 국장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외교 문제로 접근하기보다 역사 사실로 연구자들에게 맡기는 것이 좋다”며 “보상 문제는 한일협정으로 최종 해결됐다”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하라 국장은 지난 3일 일본 외무성 초청으로 도쿄를 찾은 한국 외교부 출입 기자들과 만나 “역사 문제를 외교문제화하면 안 된다”며 “과거사 문제로 일본과 한국이 싸울 게 아니라 지금의 관계를 소중히 여겨서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주일 한국대사관에서 최근 발견된 3·1운동 순국선열과 관동대학살 희생자, 강제징용 피해자 명부와 관련해 “1965년 한일협정에 나와 있는 그대로 한·일 간의 청구권 문제는 완전히 최종적으로 해결됐다”고 주장했다.
이하라 국장은 그러나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의 역사인식은 역대 내각에 비해서 변한 것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무라야마 담화와 관련해 일본은 아시아의 여러 국가에 아주 큰 고통을 주었다는 인식을 하고 있으며 내각도 역대 내각과 같은 인식”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일본) 의회에서 과거사와 관련한 질문이 나왔을 때 아베 내각은 역대 내각과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며 “침략 및 식민지 지배에 관해 아베 내각이 그것을 부정하는 일은 결코 없다”고 역설했다.
또 한·중·일 3국간 공동으로 역사교과서를 만들자는 박근혜 대통령의 최근 제안에 대해 “곧 교과서까지 만들 수 있을지 솔직히 잘 모르겠지만 역사 문제에 관해 한·일, 중·일, 한·중·일이 공동으로 연구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