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송전탑 지중화 합의… 사업 추진 급류

입력 2013-12-03 02:53


주민 반발에 부딪혔던 경남 창원 지역 송전탑 건설 사업이 지방자치단체의 적극 중재로 합의가 이뤄져 급물살을 타게 됐다.

경남 창원시는 한국전력이 마산합포구 월영동, 가포동, 현동 일대에서 추진 중인 ‘154㎸서마산분기 송전선로 증설공사’에 지역주민과 한전이 합의했다고 2일 밝혔다.

박완수 창원시장은 이날 송전탑 건설현장인 마산합포구 청량산 현장에서 한전, 주민 대표와 송전탑 건설과 관련한 합의서에 서명했다.

최종 합의까지는 곡절이 많았다. 현동 율곡마을과 월영동 주민들은 지난 8월부터 건강권과 재산권 등을 우려해 공사 전면중단과 지중화를 요구하며 공사추진을 강력히 반대해 왔다. 특히 도심에 접해있는 월영동 주민들의 경우 땅값이 높아 한전 측의 요구를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버텼다.

창원시는 주민우선주의에 입각해 “주민과의 합의 없이는 개발제한구역 내 일체의 행위를 금한다”며 한전 측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한전 측에 행정 불허가 처분으로 강경 대응하고 한편으로는 송전선의 지중화를 요구했다.

한전 측은 대안으로 ‘지중화 3개안’을 제시했고 마산합포구는 전문기관에 의뢰해 전자파 영향 등을 검토한 뒤 주민설명회와 주민 대표회의를 여는 등 주민들과 한전 간 중재에 전력을 기울였다. 위기 때마다 박 시장이 등장해 국책사업임을 강조하며 서로 조금씩 양보할 것을 요구해 마침내 합의를 이끌어 내는 데 성공했다.

김영근 월영마을발전협의회장은“지중화와 관련해 지하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케이블헤드(C/H)라는 기점철탑이 설치가 돼야 하는데 그 위치가 신월초등학교 뒤쪽이라는 게 문제였다”며 “한전이 주민들이 요구해 온 지중화 방안을 수용한 것에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한전은 2014년 4월 완공을 목표로 20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마산합포구 일대에 송전선로 1.6㎞ 와 154㎸ 송전탑 5기를 건설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