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풍력발전사업 확대에도 지역 경제효과는 미미

입력 2013-12-02 15:49

[쿠키 사회] 제주지역에 풍력발전사업이 확대되고 있지만 지역경제 효과는 미미해 지역소득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일 제주발전연구원 고태호 책임연구원이 발표한 ‘풍력발전사업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풍력터빈의 설계나 부품개발, 풍력발전기 설치와 단지 기반조성에 따른 수익이 풍력발전 사업을 추진하는 지역에 귀속되지 않고 있다.

풍력발전을 통해 발생하는 사업이익이나 사업운영에 따라 발생하는 재정 수입이 국가나 기업에 귀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인력창출이나 기업 참여에 있어서도 전문 인력이 필요한 풍력발전사업의 특성상 지역 내 고용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제주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지난해 제주 풍력발전사업 수익 중 83%가 도외로 유출됐다”며 “풍력발전 개발이익의 공유화를 위해 기부금 산출 비율 결정을 위한 합리적인 판단기준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풍력발전 사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으로 제주에너지공사의 역량 강화와 출자 제한 완화, 소규모 풍력발전사업 활성화, 지역주민 출자 우대 등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또 풍력발전의 경우 초기에 대규모 자본이 소요되기 때문에 제주지역 자본으로 충당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풍력발전을 조성하기 위한 원가는 1㎿ 당 육상의 경우 20억원, 해상은 40억원 정도로 조사됐다.

제주도는 1998년 행원풍력발전 단지를 시작으로 현재 10곳의 풍력발전단지를 조성·운영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2GW(2048㎿)의 풍력발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제주=국민일보 쿠키뉴스 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