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캠코, 기업 구조조정 기능 포기하나
입력 2013-12-02 01:33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홍영만 신임 사장을 임명하면서 경영목표에서 ‘기업구조조정지원’ 역할 부분을 삭제한 것으로 확인됐다. 캠코가 현 정부의 국민행복기금 공약을 뒷받침하기 위해 정작 본연의 업무인 부실채권 인수를 통한 중소기업 지원 업무를 외면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캠코는 최근 연 2013년 18차 이사회에서 ‘신규 임명 기관장 경영계약(안) 승인의 건’을 처리했다고 1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 캠코는 사장 경영목표에서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기업구조조정지원 역할 강화’ 부분을 없앴다. 이 항목은 캠코의 전략과제인 ‘부실자산의 효율적 인수·정리강화’에 포함돼 있던 부분이다.
캠코 측은 당시 이사회에서 삭제 이유를 ‘대내외 경영여건을 고려해 국유재산관리, 서민금융업무에 공사의 역량을 집중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회사 내 경영목표에는 중소기업 지원 부분이 있다’고 임원진에게 밝혔다.
캠코가 이 내용을 지운 건 프로젝트파이낸싱(PF) 채권 인수, 해운·건설업체 지원에 주로 쓰인 ‘기업구조조정지원기금’이 내년 말로 정리되기 때문이다. 2009년 5월 조성된 기금은 6조원가량을 투입해 11조원이 넘는 부실채권을 인수했다.
하지만 해당 내용을 회사 경영목표에는 그대로 두고 사장 경영목표에서만 뺀 것은 향후 문제점으로 지적될 때 책임을 피해 가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지난 4월까지만 해도 장영철 전 사장은 “중소기업인 재기지원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채무조정과 자금지원, 신용보증을 수행하는 개별기관 간 협력이 필요하다”고 했었다. ‘중소기업인 재기지원 강화방안’ 연구보고서를 만들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달 18일 취임한 홍 사장은 이 목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워졌다.
캠코 측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생긴 국민행복기금 등에 사업이 집중되면서 어쩔수 없이 빠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캠코 관계자는 “올 들어 국민행복기금을 발족하고 국유일반재산관리를 일원화하면서 해당 부문에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우선순위를 고려해 빠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진삼열 기자 samu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