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교실 1296개로 확대… 직업·기술 위탁교육

입력 2013-11-27 18:00


정부가 27일 발표한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지원방안’은 위기학생을 위해 학교와 학교 밖 기관을 연결하려는 노력이 엿보인다. 공교육 체제에서 책임지는 노력을 기울이되 무작정 위기학생을 학교로 끌어들이려 하기보다 공교육이 담당키 어려운 부분은 각계의 도움을 받아 해결하겠다는 의미다. 교육부 관계자는 “아직 미흡한 부분이 있는 게 사실”이라면서도 “실제 할 수 있는 정책을 담기 위해 애썼다”고 말했다.

학교 안팎에서 대안교육 기회를 확대 제공키로 한 부분이 대표적이다. 학교 내 대안교실을 전일제·부분운영 포함 1296개로 확대하는 한편 학교 안에서 제공하기 어려운 꿈과 끼 교육을 위해 위탁형 대안교육도 활성화하기로 했다.

위탁형 대안교육은 학교에 소속을 둔 채 대학(전문대학)이나 청소년기관, 예체능 단체 등 다양한 기관에서 소질과 적성에 맞는 학습 기회를 갖게 해주는 것이다. 실제 대구교육청은 고3 학생 146명을 제과제빵·조리(대구과학대)와 피부미용(수성대)으로 나눠 전문대학에 위탁, 직업교육과정을 이수토록 하고 있다. 고등학교를 다니면서 동시에 전문대학의 직업·기술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는 미국의 위탁교육 프로그램(Dual Enrollment Program)도 모범사례로 제시됐다. 시·도교육청이 설립하고 민간이 운영하는 민관협업형 공립 대안학교를 2016년까지 14곳 설립하기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정부는 교육부에 ‘학업중단 예방 지원센터’를 설치해 지속적으로 학업중단 실태 파악에 나설 방침이다. 학업중단 청소년이 학교를 떠난 후 어디서 무엇을 하는지 매년 실태조사를 벌여 정책을 보완하겠다는 얘기다. 학업중단 학생 본인이 왜 학교를 떠났는지, 무엇을 지원받고 싶은지 등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홈페이지도 운영하기로 했다.

일선 학교와 시·도교육청, 지자체,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등이 개인정보제공 동의를 받은 정보를 서로 공유해 서비스 연결고리도 마련키로 했다. 이 같은 정보를 취합해 학교 밖 청소년의 실태 지도(map)를 개발하고 조기 발견 및 대처 기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나눔 활동과 캠페인 등을 통해 위기 학생 지원에 대한 민간과 기업의 관심·지원도 유도한다.

학교를 떠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스마트교실과 청소년 쉼터, 방송통신 중·고교 운영도 확대한다. 보호자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학교 밖 청소년에게는 생활 안정을 위한 기초 생계비와 교육비, 의료비 등도 지원할 방침이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