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원의 반발 본격화 “원격의료 본격 도입 땐 5만명 일자리 잃을 수도”

입력 2013-11-27 17:47 수정 2013-11-27 22:08

정부의 원격의료 허용 방침에 개원의사들을 중심으로 반발이 본격화되고 있다.

5개 주요 보건의료 단체는 27일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원격의료 반대 입장을 밝혔다. 다음 달에는 진료 축소, 휴업 같은 집단행동 가능성도 열어뒀다.

대한의사협회·치과의사협회·한의사협회·약사회·간호협회와 전국보건의료산업노조는 서울 태평로1가 프레스센터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원격의료는 진료의 질을 떨어뜨리고 동네의원과 지방병원을 붕괴시킬 것”이라며 “전면적으로 도입될 경우 적어도 5만명 이상 보건의료 분야 일자리가 없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원격의료는 대면진료를 온라인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진료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의료의 기본 틀과 의료산업 구조를 바꾸는 것”이라며 “국민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정책을 추진하면서 보건의료계 및 시민사회와 전혀 협의하지 않은 채 법안을 밀어붙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원격의료 허용은 국민건강을 담보로 원격의료에 참여하는 일부 재벌기업에만 막대한 이윤을 안겨줄 뿐”이라고 지적했다.

영리병원에 대해서도 “공공의료가 자립하지 못하고 전체 국민 의료의 93%를 민간의료가 지탱하는 상황에서 영리병원을 허용하면 비극적 상황을 맞게 될 것”이라며 반대했다.

이날 오후 의사협회 주최로 열린 정책토론회 ‘원격의료 무엇이 문제인가’에서도 서인석 의사협회 보험이사는 “원격의료는 미래 성장동력 돌파구를 찾으려는 정부와 기업의 이해가 맞아떨어져 의료서비스 산업화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며 “결과적으로 중소병원의 줄도산과 진료 공백, 의료 기반 붕괴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영미 기자 ym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