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中 방공식별구역 선포는 선동적 행위”
입력 2013-11-26 18:00
중국이 선포한 방공식별구역에 대해 일본의 반발이 계속되고 미국 역시 ‘선동적 행위’라고 강력 대응하면서 동북아시아가 한·미·중·일 4개국 간 전략적 충돌의 장(場)으로 떠오르고 있다. 동북아 핵심 국가 간 신뢰를 바탕으로 추구하는 우리 정부의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이 제대로 구현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도 커지고 있다. 우리 정부의 외교력이 동북아 무대에서 본격적인 시험대에 올랐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26일 총리 관저에서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 등 관계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안전보장회의를 갖고 중국의 자제를 촉구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국제사회와 연대해 중국에 강하게 자제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조시 어니스트 미국 백악관 부대변인은 25일(현지시간) 대통령 전용기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런 분쟁은 외교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며 “중국의 선동적이고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위는 불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이 방공식별구역을 선포한 23일 백악관 국무부 국방부가 총동원돼 인정할 수 없다고 밝힌 데 이은 것이다.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국회에서 중국 방공식별구역에 대한 대응 방향을 묻는 질문에 “어떤 것이 국가 이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인가 고민하고 있다”며 “이어도는 우리 작전구역 내에 위치해 있어 우리가 이어도를 운용·활용·탐사하고 재난·재해를 예방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김관진 국방부 장관도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이어도까지) 연장하는 것을 관계부처와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도쿄신문은 주일미군이 사용하는 훈련 공역과 폭격 훈련장 3곳이 중국 방공식별구역에 포함됐다고 보도했다.
남혁상 이제훈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