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4인 협의체’ 제안에 황우여 즉답 피해… 여야 대표 ‘빈손 회동’

입력 2013-11-25 18:05 수정 2013-11-25 22:02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와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25일 오후 국회 귀빈식당에서 회동을 갖고 정국 해법을 모색했지만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김 대표는 국가기관 대선 개입 의혹에 관한 특검 도입, 민생 법안 및 예산안 처리 등을 위한 여야 4인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황 대표는 3∼4일 내 답변을 주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김 대표는 회동에서 여야 대표와 원내대표로 4인 협의체를 구성하고 협의체 산하에 특검과 국가정보원 개혁특위, 법안과 예산안, 기초단체 정당공천 폐지 문제를 논의할 기구 3개를 가동하자고 밝혔다. 4인 협의체라는 틀 안에 개별적으로 풀기 힘든 현안들을 몰아넣고 여야가 타협해 보자는 뜻이다.

황 대표는 50분간 회동에서 김 대표에게 “여당이 국정원 개혁특위를 어렵사리 수용한 만큼 예산안을 분리해 조속히 심사해 달라”고 요청했다.

양당 대표의 이날 회동은 일종의 고육지책으로 풀이된다. 김 대표는 특검 불씨를 살려가면서 민생 법안 및 예산안 처리에서 성과를 내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다. 특검과 예산안 처리를 연계하지 않는다고 공식적으로 밝히고 있지만 연말이 가까워질수록 연계 처리 혹은 늑장 처리에 대한 비난이 쏟아질 것이 뻔하다. 때문에 4인 협의체를 통해 특검과 예산안 등을 모두 논의하면서 협상 막판에 패키지로 타협하자는 의도가 담겼다.

황 대표는 오전에 김 대표가 회동을 제안하자 “회담을 미루자”는 뜻을 타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 고위관계자는 “의제 조율 없이 갑작스럽게 추진됐다”며 “민주당이 특위만 수용한다면 모를까 회담 자체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여야 대표 만남이 사실상 ‘빈손 회동’으로 끝나자 새누리당 내에선 비판적인 목소리가 높아졌다. 한 의원은 “민주당이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발언 파문을 대표회담으로 물타기하는 데 휘말렸다”고 지적했다. 새누리당은 26일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4인 협의체 수용 여부를 논의한다. 새누리당 한 중진의원은 “특검 불가는 당론이고 민생법안 및 예산안 심사는 해당 상임위원회에서 할 문제”라고 말했다.

여야 중진 의원들도 26일 국회에서 조찬 회동을 갖기로 했다. 이병석 박병석 국회부의장과 새누리당 남경필 송광호 정병국 김태환 의원, 민주당 김성곤 원혜영 우윤근 유인태 의원 등이 참석한다.

한편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오는 29일부터 7일간 종합정책질의를 진행한 뒤 다음 달 16일 예산안을 의결하는 일정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엄기영 권지혜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