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장 임명동의안 처리 등 지도부 전략부재 與 당내 불만 ‘부글부글’
입력 2013-11-24 18:11
새누리당 내에서 지도부의 전략 부재를 질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황찬현 감사원장 후보자의 임명동의안 처리가 늦어지고 국가정보원 특위 수용 카드가 큰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자 당내 불만은 고조되는 양상이다.
새누리당의 한 의원은 24일 “황 후보자 임명동의안과 황교안 법무부 장관 해임건의안을 동시에 처리해 민주당을 압박했어야 했다”고 질타했다. 그는 이어 “‘양황’(황찬현·황교안) 처리 문제에서 순서를 놓고 민주당과 싸운 것은 실수였다”면서 “민주당의 요구를 받아들여 황 장관 해임건의안을 먼저 상정해 부결시킨 뒤 황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처리하는 역습 전략을 왜 구사하지 않았는지 이해가 안 된다”고 지적했다.
새누리당의 다른 의원은 “지도부가 이른바 당내 ‘반란표’가 걱정돼 황 장관 해임건의안을 상정하지 못했다고 하더라”고 전하면서 “이는 지도부가 소속 의원들을 못 믿는다고 스스로 자백한 꼴이며, 소속 의원들을 믿지 못하는 지도부가 어떻게 국정운영을 하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새누리당이 전격적으로 내놓은 특위 수용 카드가 정국 경색을 푸는 데 아무런 효과를 내지 못한 것도 비판의 대상으로 떠올랐다. 여당이 한발 물러나며 양보했다는 인상을 전혀 주지 못한 데다 타이밍을 놓쳐 회심의 카드가 쓸모없는 제안으로 전락했다는 주장이다. 특위 수용으로 방향이 결정났다면 민주당이 국가기관의 대선 개입 의혹에 대한 특검 주장을 펼치기 전에 내놓았어야 한다는 때늦은 후회인 셈이다. 여기에다 대통령 시정 연설이 있던 지난 18일 특위 수용을 발표해 대통령 메시지가 빛이 바랬다는 지적도 있다.
새누리당 지도부가 특검·특위 문제에다 황 후보자의 임명동의안 처리까지 얽힌 정국을 매끄럽게 풀어 나가지 못할 경우 당내 비판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새누리당은 이번 주에는 반드시 황 후보자의 임명동의안을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