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역 의원 광역단체장 출마, 말릴 수도… 새누리 “지방선거 고민되네”

입력 2013-11-24 18:10

새누리당이 내년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고민에 빠졌다. 선거에서 이기려면 ‘현역 카드’를 내놓는 게 유리하지만 그렇게 되면 7·30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판이 너무 커져 자칫 ‘박근혜정부 중간평가’가 될 수 있다는 부담 때문이다. 지방선거에 나간다는 의원들을 말릴 수도, 마냥 독려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새누리당 현역 가운데 현재 광역단체장 후보로 거론되는 의원은 정몽준 정우택(서울), 서병수 유기준 박민식 이진복(부산), 서상기 주호영 조원진(대구), 박상은 윤상현 이학재(인천), 박성효(대전), 강길부 김기현 정갑윤 안효대(울산), 원유철 정병국(경기), 권성동 한기호 황영철(강원), 이명수 홍문표(충남), 강석호 김재원 이철우(경북) 등이 있다. 광역단체장 출마를 밝힌 일부 의원들은 이미 표밭을 다지고 있고, 아직 나서지는 않았지만 지역 분위기와 여론 추이 등을 지켜보며 출마시기를 저울질하는 의원들도 적지 않다. 현재 새누리당 지지도가 민주당보다 크게 앞서 있어 ‘나가면 당선’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의 고민은 국회의원이 광역단체장 선거에 출마하려면 의원직을 던져야 한다는 데 있다. 공직선거법은 국회의원이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에 입후보하는 경우 선거일 20일 전인 후보등록신청 전까지 의원직을 그만두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광역단체장 출마로 공석이 된 지역은 지방선거 한 달여 뒤에 치러지는 7·30 재보선의 대상이 된다. 현재 선거법 위반 혐의로 2심까지 의원직 상실형을 받은 의원이 10명에 달해 내년 재보선이 ‘미니 총선’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재보선의 규모가 커질수록 여권은 부담스럽다. 일단 시기상으로 박근혜정부 출범 1년반 만에 열리는 선거라 ‘중간 평가’로 해석될 소지가 크다. 집권세력에 대한 견제 심리가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해 이기면 다행이지만 패할 경우 향후 정국운영의 주도권을 뺏길 수 있다. 현재 155석으로 원내 과반의석(151석)을 간신히 넘긴 새누리당은 선거결과에 따라 과반이 무너질 수 있다는 불안감도 크다. 이 때문에 청와대가 내년 지방선거에 현역 의원의 출마를 최소화하는 게 좋겠다는 의견을 여당 지도부에 전달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 한 중진 의원은 24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방선거에서 이기는 것도 중요하지만 당에 남아 일할 사람도 필요하다”며 “청와대도 선거 이후 원활한 국정 운영을 고려해 남을 사람은 남아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반면 당 고위관계자는 “7월 재보선 때문에 지방선거 현역 출마를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며 “지방선거에 나갈 수 있는 곳도 몇 안 되는 만큼 일단 다 내보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