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협상 극적 타결] 70년대 의혹 부상, 협상 또 결렬… 이란 중도파 8월 집권하며 ‘물꼬’ 열려

입력 2013-11-24 17:50

이란 핵무기 개발 의혹이 제기된 건 1970년대부터였다. 50년대 상업용 핵 개발 프로그램을 개시한 이란은 67년 핵확산금지조약(NPT)에 가입하면서 핵무기 보유국이 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이후 핵 개발 기술자들을 육성하고 경수로를 건설하는 등 핵에너지 생산에 속도를 냈다. 미국은 이란이 핵무기 개발 의지를 숨기고 있다고 우려하기 시작했다.

이란이 중부 산악지대 나탄즈에 비밀 우라늄 농축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난 건 2002년 8월이다. 이란 반정부 단체가 관련 문건을 입수해 처음 폭로했다. 중부 도시 아라크를 촬영한 위성사진엔 중수로가 찍혀 있었다. 이란이 핵 활동 보고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것이었다. 미국은 이란 정부가 전역에 걸쳐 대량살상무기를 보유하려 한다고 비난했다.

2006년 4월 11일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이란 대통령은 텔레비전 연설에서 순도 3.5%의 저농축 우라늄 추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저농축 우라늄 생산 과정을 반복하면 핵무기 제조가 가능한 고농축 우라늄도 만들 수 있다. 이란은 핵연료 자급을 위한 평화적 목적의 개발이라고 강조했다. 산업용 연료 생산을 위한 우라늄 농축은 NPT가 보장하는 권리라는 입장도 지금과 같았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같은 해 12월부터 2010년 6월까지 네 차례 이란 제재 결의안을 내놨다. 제재 수위는 매번 높아졌다. 이란은 2009년 11월 우라늄 농축시설 증설 계획을 밝힌 데 이어 2011년 6월 순도 20%의 농축 우라늄을 50㎏ 이상 생산했다고 발표하며 서방을 자극했다.

P5+1로 불리는 유엔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미국 러시아 프랑스 중국 영국)과 독일은 2008년 7월 이란과 협상을 벌였지만 성과를 내지 못했다. 당시 미국은 처음으로 고위 당국자인 국무부 차관을 급파했지만 이란은 물러서지 않았다. 지난해부터 올해 4월까지 열린 협상도 번번이 결렬됐다.

물꼬는 올해 8월 중도파인 하산 로하니 대통령이 집권하면서 열렸다. 경제난 극복을 위해 서방과 화해가 필요하다는 주장에 힘이 실렸다. 미국도 경제 제재를 완화할 수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P5+1과 이란은 10월 중순 처음 만난 이후 세 차례 협상 끝에 처음으로 합의에 도달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