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국정원 트윗 글 121만건 모두 불법 소지”…심리전단 소속 22명이 2600여개 계정 관리

입력 2013-11-21 17:58 수정 2013-11-22 00:34

국가정보원 심리전단 5팀(SNS 전담) 소속 직원 22명이 2600여개의 트위터 계정을 관리하며 선거 관련 글을 작성하고, 상부에 실적을 보고한 것으로 검찰 수사결과 드러났다.

국정원은 글의 파급력을 높이기 위해 조직적으로 자동·반자동 리트윗 프로그램까지 사용했다. 검찰은 국정원 직원들이 올린 선거 및 정치 개입 목적의 트위터 글 121만228건 모두가 불법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이정회 수원지검 형사1부장)은 21일 “국정원이 대선 등 선거 관련 글 64만7443건, 정치 관련 글 56만2785건을 작성한 사실이 새롭게 발견됐다”며 공소장을 변경한 이유를 설명했다. 검찰은 대선 관련 글에는 선거법 위반 혐의를, 총선 및 재보선 관련 글에는 선거법 공소시효가 지나 국정원법 위반 혐의를 적용해 20일 공소장 변경 신청서를 법원에 제출했다.

121만여건의 글은 모두 국정원 직원들이 직접 관리하는 트위터 계정에 올라온 것이다. 국정원은 2600여개의 계정을 만들어 놓고 ‘작업’을 벌인 것으로 조사됐다. 22명이 1명당 평균 118개 정도의 계정을 관리한 셈이다. 국정원은 2만6550건의 글을 소스(Source) 글로 삼고 자동·반자동 리트윗 프로그램인 봇(bot)과 트윗덱(tweet deck) 프로그램을 사용해 자신들의 트위터 계정에 대량으로 글을 올렸다. 소스 글 2만6550건 중에는 국정원 직원들이 직접 작성한 글도 수천건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만6550건 가운데 선거 관련 글은 1만3292건, 정치 관련 글은 1만3258건에 달한다.

검찰은 특히 국정원이 보수 성향의 인터넷 매체, 일부 지역 신문, 인터넷 카페의 관계자 등을 관리하면서 국정원이 작성한 글을 기사화 또는 게재토록 요청한 뒤 이를 트위터로 다시 퍼 나른 정황도 포착했다. 이른바 ‘자가 발전’ 방식으로 국정원 생산 글을 확산시켰다는 말이다.

검찰은 국정원이 전파력을 의식해 이 같은 방식을 사용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선거에서는 전파가 중요하기 때문에 글을 퍼 나르는 것도 의미가 있다. 국정원 직원들도 실적 위주로 (트위터) 건수를 보고했다”고 말했다.

검찰은 공소장을 변경하면서 외부 조력자가 작성한 글은 제외했다. 검찰 관계자는 “외부 조력자가 사용한 트위터 계정을 확인했지만 재판이 많이 진행된 상황이어서 국정원 직원들이 올린 글만 공소사실에 넣었다”고 말했다.

검찰은 국정원 직원들이 포털 사이트에 올린 정치·선거 관련 글도 추가로 확인해 공소사실에 포함했다. 선거 관련 글은 기존 73건에서 114건으로, 정치 관련 글은 1977건에서 2125건으로 늘었다.

국정원 사건을 재판 중인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1부(부장판사 이범균)는 22일 특별기일을 열어 공소장 변경 문제를 논의키로 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