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환경장관 ‘온실가스 감축’ 개도국 지원 재원 마련 촉구

입력 2013-11-20 18:47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제19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총회 고위급 회의가 19일 오후(현지시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시작됐다.

지난 11일 개막한 이번 총회에서 195개국 장관급 대표들은 2020년 이후부터 적용될 이른바 ‘신기후체제’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 방식과 협상 일정, 녹색기후기금(GCF·Green Climate Fund) 확보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신기후체제는 2020년 이후 선진국뿐 아니라 중국 인도 브라질 등 세계 모든 국가에 일정량의 온실가스 감축을 의무화하는 조치를 말한다.

하지만 이번 회의에서 가시적 성과가 나오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온실가스의 구체적 감축 규모·시기·방식 등을 둘러싸고 선진국과 개도국 간 팽팽한 줄다리기가 계속되고 있다.

우리나라 수석대표로 참가한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특히 GCF 재원 마련을 강하게 촉구할 계획이다. GCF는 한국에 최초로 유치되는 유엔 산하 국제기구로, 신기후체제에서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지게 되는 개발도상국을 돕기 위한 기금이다.

문제는 돈이다. 2020년 이후 해마다 1000억 달러 규모의 기금을 조성해야 하는데, 선진국들이 재원 마련에 미온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윤 장관은 이날 헬라 체크로흐 GCF 사무총장과 양자 회담을 갖고 기후 재원 이슈 및 GCF 운영과 관련해 의견을 교환했다.

GCF는 다음달 4일 인천 송도에 사무국이 문을 연다. 기금 마련 방안과 관련해 구체적 논의가 진행되지 못한 채 일단 사무국부터 들어서는 셈이다. 만프레드 코누키에비츠 GCF 공동의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GCF를 ‘빈 조개껍질(empty shell)’이라고도 하지만 많은 국가들이 기여 의사를 밝히고 있다”면서 “GCF가 궤도에 올랐다”고 자신했다. 헬라 체크로흐 사무총장도 “한국이야말로 생동감 넘치는 국가이며 녹색성장의 좋은 본보기를 보여주고 있어 입지로서 적합하다”고 기대를 나타냈다.

민태원 기자, 바르샤바=공동취재단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