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은 지금도 총리가 과거사 문제로 사과하는데… 日, 68년째 반성은커녕 망언만

입력 2013-11-20 17:53

여야 국회의원 31명은 20일 국회에서 ‘독일 사례로 본 한국의 과거청산 포럼’을 갖고 일본의 잘못된 과거사 인식에 대해 강도 높게 비판했다. 유관순 열사가 옥중에서 타살된 사실이 밝혀지는 등 3·1운동과 관동대지진 희생자 명부가 사상 처음 공개된 이후에도 일본은 반성은커녕 망언을 일삼고 있다.

새누리당 서청원 의원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한국은 어리석은 국가’라고 발언했다는 최근 일본 언론의 보도에 대해 “우리 국민들의 가슴을 팍팍 파는 얘기를 했다”고 지적했다.

서 의원은 “독일은 아직까지도 총리가 과거사 문제로 사과한다”며 “이런 모습을 보며 우리는 좋은 이웃을 가지지 못해 불행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이 독일의 반만이라도 노력을 하면 양국 관계가 좋아지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민주당 진선미 의원과 포럼을 공동 개최한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은 “동네 싸움도 때린 사람이 사과해야 화해를 한다”며 “우리는 일본을 용서하고 화해할 준비가 됐는데 가해자인 일본이 진정한 반성을 하지 않는다”고 분개했다.

이 의원은 “일본이 고약하게 나온다”며 “독일은 나치시대의 가해자 명단을 공개하고 자기반성을 하는데 일본은 일제강점기 이후 68년째 반성을 안 해서 과거사가 청산될 수 없다”고 했다. 진 의원은 “과거사 문제는 유족 한 분의 일이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문제”라며 “독일은 과거사의 상처를 극복하고 사회통합을 이룬 나라, 과거의 잘못으로부터 자유와 인권의 가치를 다시금 새기는 나라라는 자긍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포럼에는 롤프 마파엘 주한독일대사도 참석했다. 마파엘 대사는 “빌리 브란트 전 총리가 바르샤바에서 무릎을 꿇었던 일 등 독일 정치인들의 연설과 제스처가 과거청산의 문화를 발전시켰다”고 소개했다.

포럼은 독일의 과거청산 활동 경험을 공유하고 한국의 과거청산에 대한 성과와 한계를 되짚기 위해 개최됐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