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인상] 재계 ‘발칵’… “경영난 가중 불보듯”

입력 2013-11-19 18:23

재계는 산업용 전기요금 대폭 인상에 강력 반발했다. 경영난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전기 사용 비중이 큰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등 기간산업이 입을 타격을 우려하고 있다. 재계는 정부의 지원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9일 논평을 내고 “산업용 전기요금은 2000년 이후 14차례에 걸쳐 78.2%나 올랐다”며 “올해 초 인상한 이후 다시 산업용 전기요금을 6.4%나 올리는 것은 산업계에 과도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전경련은 철강, 석유화학은 물론 이들 산업과 밀접하게 연결된 자동차, 조선 등 산업 전반에 미칠 파장이 상당할 것으로 봤다. 가격 경쟁력 하락, 비용 증가 등이 불 보듯 뻔하다는 얘기다.

예상보다 높은 인상률에 철강업계는 충격에 빠졌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산업용 전기요금 1% 올릴 때 약 420억원의 추가 부담이 발생한다. 6.4% 인상으로 2688억원 추가 부담을 예상하고 있다. 철강협회는 “불황의 늪에 빠져 고전하고 있는데 전기요금까지 오르면서 원가부담 가중이 예상되는 데다 전기로 업체는 흑자 달성이 어렵게 됐다”며 “이번 요금 인상으로 요금 현실화 수준을 넘어선 만큼 앞으로 요금 인상은 자제해 달라”고 지적했다.

전경련은 산업용, 주택용 등 요금체계에 대한 논란이 많으니 이번 인상에 따른 용도별 ‘원가이익회수율’을 투명하게 공개할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경련은 한국전력이 적자의 근거로 내세우는 ‘원가회수율’에서 원가는 실제로는 각종 비용과 이익까지 포함된 개념이기 때문에 ‘원가이익회수율’로 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교육, 주택, 일반 등 용도별 원가이익회수율을 바탕으로 전기요금의 합리적 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