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정부질문 첫날부터 파행… 민주당 한때 집단 퇴장

입력 2013-11-19 17:51 수정 2013-11-19 22:34


국회가 대정부질문 첫날인 19일 한때 파행을 겪었다.

전날 박근혜 대통령의 시정연설 후 발생한 민주당 강기정 의원과 청와대 경찰경호대 요원 간 폭행사건을 둘러싸고 여야가 책임 공방을 벌이다 민주당 의원들이 본회의장을 전원 퇴장하기도 했다.

민주당은 당초 오전 10시로 예정됐던 본회의에 늦게 입장했다. 오전 9시에 열린 의원총회에서 강 의원 사건과 관련해 강창희 국회의장에게 유감 표명과 함께 여야 의원 1명씩의 의사진행발언을 요구키로 하면서 정치 분야 대정부질문이 1시간가량 지연됐다.

오후 2시 속개된 본회의에서 강 의장은 민주당의 주장을 받아들여 “국회 관내에서 현역 의원이 물리적인 제재를 받았다면 잘못된 일”이라며 유감의 뜻을 밝혔다.

그러나 새누리당 이우현 의원이 의사진행발언에서 “강 의원이 경호대 요원의 멱살을 잡고 구타했다”고 맹비난하자 민주당 의원들은 강력 반발하며 집단 퇴장했다. 강 의원은 새누리당 강은희 원내대변인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청와대 얘기보다는 제 얘기를 들었어야 했다. 제가 전과자라서 인식이 달라진 것이냐”고 항의하기도 했다.

결국 대정부질문은 방한한 알마즈베크 아탐바예프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의 방청을 감안해 잠시 새누리당만의 ‘반쪽’으로 열리다 1시간여 만에 정회됐다.

민주당은 곧바로 긴급 의원총회를 열어 강 의장과 새누리당의 사과를 요구키로 했고, 여야 원내대표단의 협의 끝에 본회의는 오후 5시5분쯤 속개됐다.

강 의장은 청와대의 조치를 재차 요구했고, 새누리당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도 “과도한 물리적 제재가 있었다”며 유감을 표시했다.

민주당은 예정대로 국가기관 대선 개입 의혹과 관련해 황교안 법무부 장관 해임건의안, 남재준 국가정보원장·박승춘 국가보훈처장 해임촉구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새누리당은 대정부질문에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미이관 관련 사초폐기,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의 대선개입 의혹 등을 추궁하는 데 주력했다. 노철래 의원은 “그간 친노가 ‘대화록을 기록관에 넘겼다’며 국민을 속였지만, 결과는 과학수사가 궤변을 이겼다”고 비판했다.

반면 민주당은 국가기관의 대선 개입 의혹을 따져 물었다. 원혜영 의원은 “이명박 전 대통령 등 전임 정부 관계자들에 대한 조사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압박했다.

이에 대해 정홍원 국무총리는 “범죄 혐의가 있다면 검찰이 엄정하게 수사하리라고 보고 성역이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또 “(민주당의) 특별검사 요구는 사리에도 법리적으로도 맞지 않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대선에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을 이용한 것 아니냐’는 추미애 의원 질문에는 “그렇지 않다”고 반박했다.

김아진 유동근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