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 “특검 주장 고집하면 대화 못해”

입력 2013-11-19 17:38 수정 2013-11-19 22:11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19일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가진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고심 끝에 내놓은 국가정보원 개혁특위를 민주당이 받지 않겠다는 것은 대화와 타협을 하기보다는 정쟁을 계속하겠다는 의도로밖에 볼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특위 문제를 민생법안·예산안 처리와 연계해 민주당과 협상을 계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 원내대표는 “끝까지 대화하려고 노력하겠지만 민주당이 (국가기관 대선 개입 의혹에 대한) 특검 주장을 고집한다면 새누리당도 특위를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이 특위 거부 입장을 밝혔는데.

“대화에는 상대방이 있는 것이다. 일방적으로 자기 주장만 펼친다면 무슨 대화가 가능하겠는가. 정국 정상화 제안을 민주당이 수용하지 않는다면 의회 민주주의를 부정하는 것이다.”

-18일 새누리당 긴급 최고위원회에서 민주당과의 협상 전권을 받았는데 향후 전략은.

“끝까지 대화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그러나 민주당이 특검 주장을 계속한다면 더 이상 대화할 수 없다. 새누리당은 국회 정상화를 전제조건으로 특위를 받아들였다. 민주당이 국회 정상화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새누리당도 특위를 할 수 없다.”

-특위 수용은 청와대와 상의한 것인가.

“기본적으로 국회의 일은 국회에서 결정한다. 특위가 됐건, 특검이 됐건 국회가 결정하는 것이다. 다만 정부와 여당은 같이 가는 것이니까 청와대와 수시로 협의하고 있다.”

-황찬현 감사원장 후보자 임명동의안 처리는 어떻게 할 계획인가.

“인사청문회법은 여야가 임명동의안을 합의해서 처리하지 못할 경우 국회의장이 직권상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민주당이 황 후보자 문제를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문제와 연계시키는 것은 정말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황 후보자와 문 후보자는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말 한마디 서로 안 해 본 사이라고 한다.”

-직권상정 시점은.

“국회의장이 결정할 일이다.”

-민생법안과 예산안 처리 방침은.

“이른바 국회마비법(국회선진화법을 지칭) 때문에 민주당 협조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는 뾰족한 수가 없다. 국민들에게 호소하고 야당에게 협조 구하는 것 말고는 다른 수단이 없다.”

-민주당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빨리 대선 불복 이슈에서 벗어나야 정국이 정상화된다. 민주당한테는 그게 살길이다. 우리 경제가 회생의 불빛을 보이고 있는데, 관련 입법 처리를 못해 그 불빛을 꺼뜨린다면 국회가 경제의 발목을 잡았다는 비판이 쏟아질 것이다. 민생 문제에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 민주당에 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적극 동참해줄 것을 간곡히 부탁드린다.”

하윤해 권지혜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