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국발 미세먼지 예보시스템마저 먹통인가
입력 2013-11-18 18:09
중국발 스모그인 미세먼지에 대한 환경당국의 예보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국민들의 건강권은 심각하게 위협받을 수 밖에 없다. 최근 한반도를 엄습하는 미세먼지 대기오염은 이미 국민들에게 날씨 못지않은 주요 기상정보가 되고 있다. 이같이 국민의 주요 관심사인데도 대책 마련은커녕 기본적인 예보마저 제대로 안 된다면 여간 잘못된 일이 아닐 수 없다.
미세먼지 불안이 커지자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 8월 수도권 지역을 시작으로 미세먼지 예보제를 시작했다. 환경당국은 미세먼지 농도가 하루평균 80㎍을 초과할 경우 기상청 홈페이지에 예보문을 올리고 있다.
그런데 미세먼지가 심했던 지난 16일 아무런 예보가 없었다. 하루 평균 미세먼지 오염도가 기준 이하였던 서울에서도 한때 최고치가 119㎍까지 치솟은 것으로 측정됐다. 특히 경기도의 하루 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84㎍를 기록했다. 환경당국은 경기도와 달리 서울이나 인천은 하루 평균 기준치인 80㎍을 밑돌아 예보하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17일 새벽 충북과 경북, 전남, 제주에서도 미세먼지 오염은 204∼290㎍을 오르내렸다. 그런데도 ‘권역별 하루 평균’이란 기준에만 매달려 환경당국은 아무런 사전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이 같은 환경당국의 ‘수도권’ 등 권역별 예보방식은 문제가 있다. 평소엔 시·도별로 미세먼지 농도를 발표하는데 예보는 권역별로 하면 정보가 누락되는 지역이 너무 많다. 또 낮은 농도의 미세먼지라도 어린이나 노인,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크다. 뿌연 스모그인 미세먼지는 인체에 해로운 중금속 오염물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대기환경기준 이하의 미세먼지라도 장기간 인체에 누적되면 천식 기관지염 등 폐질환, 심지어 뇌졸중까지 중증질환을 일으킨다. 매년 찾아오는 황사 보다 몸에 미치는 해악이 훨씬 더 크다.
따라서 미세먼지 오염이 하루 평균 기준치 이하라도 매일 예보하는 것은 물론 오염도가 순간적으로 치솟을 시간대는 사전에 국민들에게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의료기관이나 각급 학교와 단체, 실외활동이 많은 국민들이 최소한의 사전대비를 하지 않겠는가.
올 겨울은 어느 때보다 혹한이 예고돼 있다. 외신에 따르면 중국의 수천만 가구가 지난 15일부터 화석연료를 사용한 겨울난방을 시작했다. 이에 따라 올 겨울 고농도 미세먼지가 한반도 상공을 수시로 뒤덮고, 국지적으로 심각한 대기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 환경부와 환경과학원은 기상청과 방송사 등 유관기관과 협조해 겨울철 미세먼지 오염정보에 대한 예보시스템을 확대하는 동시에 대국민 알림서비스도 대폭 강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