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황사보다 독한 초미세먼지… 중국발 ‘검은 재앙’ 숨 못쉬는 한반도
입력 2013-11-18 18:00 수정 2013-11-18 21:50
중국의 초미세먼지(PM2.5) 배출량이 2022년까지 계속 증가하며 최악의 경우 2050년까지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PM2.5는 지름이 2.5㎛ 이하의 먼지를 가리키는 것으로 ‘중국발 검은 재앙’은 상당 기간 한반도를 위협하리라 예상된다.
기상변화에 따른 잦은 안개와 중국발 스모그가 겹칠 경우 환경재앙은 물론 제2의 도심 아파트 헬기 충돌 같은 항공사고 위험도 도사리고 있다. 정부는 이런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한·중·일 3국의 대기 분야 상시 ‘정책 대화’를 제의하고, 우리의 앞선 환경산업·기술을 전수하는 등 중국의 대기 질 개선을 지원키로 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최근 발표된 유엔 기후변화정부간위원회(IPCC) 5차 보고서를 토대로 중국의 미래 대기오염물질 배출 규모를 전망했다. 중국 정부가 당장 대기오염 감축에 들어가는 ‘최선의 시나리오’일 경우 PM2.5 배출량은 계속 증가하다 2022년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재 상황이 계속 유지되는 ‘최악의 시나리오’에선 PM2.5 배출량이 2050년까지 증가하고 2055년쯤부터 줄어드는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미래 ‘복사 강제력’을 기준으로 기후변화를 예측한 IPCC의 ‘대표농도경로 시나리오’를 중국의 PM2.5 배출량에 적용해 전망한 것이다. 복사 강제력은 대기오염물질이나 온실가스 등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말한다. PM2.5와 온실가스, 오존, 이산화질소, 아황산가스 등이 복사 강제력을 직간접적으로 증가시키는 요인이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18일 “특히 PM2.5는 대기 중에 나오면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2차 ‘입자상 물질’을 생성하기 때문에 배출량이 많아질수록 농도가 올라간다”면서 “중국발 초미세먼지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우리나라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고강도 대기오염 방지책을 발표하며 개선에 나섰지만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경제발전 속도로 볼 때 주변국의 대기환경 피해는 갈수록 심해질 전망이다. 향후 상황에 적극 대처하려면 중국의 환경·기상 당국과 신속한 정보 공유 등 실질적인 협력이 이뤄져야 한다.
정부는 지난 8월 한·중·일 국장급 환경정책 대화를 가동하자고 중국에 제안한 상태지만 아직 답변을 받지 못하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스모그, 황사, 자동차 정책, 온실가스 등 현안이 발생할 때마다 수시로 개최하자는 게 우리 입장이고 일본도 지지하고 있다”며 “다음달쯤 가시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환경부는 또 석탄화력발전소 탈황·탈질 기술, 압축천연가스(CNG) 버스 등 청정 대중교통시설 운영 방안, 경유차 매연 저감 기술 등 중국이 관심을 갖는 국내 환경기술에 대한 파트너십도 제안할 예정이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