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식으로 절박한 외침 “제발 온실가스 감축을…” 필리핀 예브 사노 기후변화담당관 단식 6일 째

입력 2013-11-17 19:14

지난 12일(현지시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제19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총회에서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 부족을 질타하며 단식에 돌입한 필리핀의 예브 사노 기후변화담당관은 17일로 단식 6일째를 맞았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보도했다.

22일까지 이어지는 총회에서 선진국의 행동 변화를 가져오도록 하는 게 사노 담당관의 목표다. 이날도 선진국에 대한 압박을 이어갔다. 그는 “이번 총회는 2020년부터 새롭게 구속력을 갖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합의하기 위한 자리”라며 “그런데 일부 국가가 기존 기후변화협약조차 지키지 않는 모습을 보여 실망을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가 비판한 일부 국가는 일본 호주 캐나다 등이다.

일본은 총회 직전인 7일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1990년 대비 25% 감축’에서 ‘2005년 대비 3.8% 감축’으로 하향 조정했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한 화석연료 사용 증가를 이유로 댔다. 호주는 최근 탄소세 폐지를 공약으로 내세운 보수 정권이 들어선 뒤 이번 총회에 대표단도 보내지 않았다. 캐나다 역시 경기 침체를 이유로 매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대 수준으로 줄이겠다는 교토의정서 협약을 지키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필리핀을 휩쓸고 지나간 태풍 ‘하이옌’을 계기로 과거 어느 총회 때보다 개발도상국의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195개국 대표가 참석하는 총회의 최고위급 회담은 18일 열린다. 이날 회담에서 도출된 결과물은 2015년 파리에서 협약으로 서명돼 2020년부터 효력을 발휘하게 된다.

개도국은 온실가스 감축에 앞장서고 있는 영국의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가 회담에서 선진국의 행동 변화를 촉구하는 발언을 해주길 바라고 있다. 아울러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늘리는 데 실패할 경우 차선책으로 선진국이 기후 변화에 대한 보상 조치로 2020년까지 연간 1000억 달러를 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칠 계획이다. 온실가스 배출량 1위인 중국조차 개도국 편에 서서 일본과 유럽을 비판하고 나섰다. 옥스팜 등 국제 구호단체 및 비정부기구(NGO)도 “18일 최고위급 회담에서 선진국을 움직일 의미 있는 결과물을 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