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균 “盧, 삭제·미이관 지시 안해”… 윤상현 “친노, 석고대죄 해야”
입력 2013-11-17 18:16 수정 2013-11-17 18:21
정치권은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고의 폐기됐다는 검찰의 대화록 미이관 수사 결과를 놓고 공방을 이어갔다.
대화록 삭제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은 17일 노무현재단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노 전 대통령이 대화록을 삭제하라거나 이관하지 말라는 지시를 한 적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1월 참고인 조사를 받을 당시 그런(지시를 했다는) 진술을 한 건 사실이지만 이후 조사에서 부정확한 기억을 토대로 한 잘못된 진술이라고 재차 말했다”고 주장했다. 대통령기록관으로의 미이관에 대해서는 “(2008년 1월까지만 이지원 문서가 자동 이관되게 돼 있는데) 2월 14일에 메모보고를 올려도 자연히 이관될 것으로 생각했다”며 고의가 아닌 ‘실수’임을 강조했다.
이병완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이 없었음이 확인된 만큼 당초 문제제기를 했던 새누리당 김무성·서상기·정문헌 의원의 의원직 사퇴를 요구했다. 김한길 대표도 ‘민주와 평화를 위한 국민동행’ 창립대회에서 “새누리당이 집권연장 욕심에 눈이 멀어 NLL 포기발언이라는 누명을 씌워 부관참시한 죄는 역사와 국민이 반드시 심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은 “적반하장”이라며 강력 비판했다.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노무현정부 인사들은 국민을 속인 것에 대해 속죄하고 석고대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관했다는 것도, 이지원에 삭제 시스템이 없다는 것도, 단순실수라고 입을 맞춘 것도 친노 인사들의 거짓말”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대화록을 최종 감수해 이관했다고 주장해온 민주당 문재인 의원의 정치적·도의적 책임을 촉구했다.
김아진 김동우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