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LL 대화록’ 수사결과] 초본 보고받은 盧 ‘완성도 높게 정리’ 수정 지시 파일 첨부
입력 2013-11-15 17:47 수정 2013-11-16 00:37
검찰은 참여정부 말기 4개월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수정·삭제·미(未)이관을 둘러싸고 벌어진 일련의 과정들을 밝혔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은 2007년 10월 2일부터 사흘간 남북정상회담을 가졌다. 조명균 전 외교안보정책비서관은 정상회담 직후인 10월 6일 국가정보원이 풀어낸 녹취록을 바탕으로 초본 대화록을 작성했다. 조 전 비서관은 초본 대화록을 이지원 시스템을 통해 백종천 전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과 노 전 대통령에 보고했다. 검찰이 봉하 이지원에서 복구했다고 밝힌 삭제된 대화록이다.
노 전 대통령은 같은 달 21일 초본을 읽어본 뒤 ‘한 번 더 다듬어 놓자는 뜻으로 재검토로 한다’고 처리의견란에 적었다. 또 ‘정확하지 않거나 모호한 부분이 없지 않다’며 ‘정확성, 완성도가 높은 대화록으로 정리해 이지원에 올려두기 바란다’는 별도의 수정지시 파일을 첨부해 이지원상에 ‘열람’ 처리했다.
조 전 비서관은 지시에 따라 이튿날 국정원에 초본의 수정·보완을 의뢰했다. 국정원에 의해 수정된 대화록을 받은 조 전 비서관은 이를 다시 다듬어 수정본 문건을 작성한 뒤 12월말 노 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노 전 대통령은 조 전 비서관에게 “대화록은 국정원에서 1급 비밀로 보관하고 대화록을 청와대에 남겨두지 말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검찰은 “‘2000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2급 비밀로 관리하던 전례와 다르다”며 “노 전 대통령이 대화록의 공개를 꺼린 듯하다”고 밝혔다.
이후 조 전 비서관은 국정원에 수정본을 넘겼다. 별도로 보관하고 있던 종이문서 형태의 수정본 문건은 파쇄했고, 이지원에 등재돼 있던 초본 파일은 2008년 1월 30일~2월 14일 삭제됐다. 조 전 비서관은 2월 14일 수정본을 봉하 이지원에 별도로 첨부했다. 노 전 대통령이 사저로 가져갔던 봉하 이지원은 자료 유출 논란이 일자 2008년 7월 19일 기록관에 반납됐다. 국정원은 2008년 1월 3일 수정본을 1급 비밀로 지정해 관리하다가 2009년 3월 2급 비밀로 강등시켰고, 지난 6월 24일 일반문서로 재분류해 공개했다.
정현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