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2가지 중대과제 직면… 소수민족 대응·권력집중 견제
입력 2013-11-14 18:26 수정 2013-11-14 22:42
시진핑(習近平) 총서기가 중국공산당 제18기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18기 3중전회)를 마무리하면서 당장 두 가지 과제에 직면하게 됐다.
국가기구로 신설하게 될 국가안전위원회(국안위)가 신장위구르, 티베트 등 소수민족 지역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홍콩 마카오 대만과 관련해서도 더욱 엄격한 정책을 집행할 것이란 관측에 따라 이들 지역에서는 벌써부터 민감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다 시 총서기가 국안위 위원장뿐 아니라 ‘전면심화개혁영도소조’ 조장까지 맡을 경우 당·정·군에다 ‘경제 대권’까지 한손에 쥐는 결과가 돼 권력 집중을 견제하는 당 원로 등 반대세력의 반발을 극복해야 하는 상황이다.
베이징 정가 소식통은 14일 “국안위는 대외 안보도 관장하지만 소수민족 문제 등 체제 안정을 위협하는 요소에 대처하는 대내 안보에 더욱 치중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BBC 중문판은 이와 관련해 “18기 3중전회 당 공보가 국안위 기능을 밝히면서 국내 문제를 먼저 언급한 것은 대외적인 안보보다는 이 분야를 더 중시한다는 방증”이라고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도 국안위가 국내 안보에 더욱 힘을 쏟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기존 중앙티베트공작협의소조, 중앙신장공작협의소조는 물론 중앙홍콩·마카오공작협의소조와 중앙대만공작협의소조 등이 국안위에 흡수될 것으로 관측됐다.
중국 외교부 직속 싱크탱크인 중국국제문제연구소 취싱(曲星) 소장은 지난 12일 인민망(人民網)과의 인터뷰에서 “테러리즘, 분열주의, 극단주의 활동이 세계 각지에서 빈번해지고 있어 국안위는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가운데 분열주의는 신장과 티베트 분리운동뿐 아니라 대만 독립운동, 홍콩 민주화세력 등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BBC는 진단했다.
특히 홍콩에서 보통선거 쟁취운동을 벌이고 있는 민주화세력은 국안위가 자신들을 겨냥한 것이라며 긴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중국 내 민주인사들도 자신들에 대한 탄압이 더욱 엄중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민주화운동을 벌여온 후자(胡佳)는 “국안위는 옛 소련 비밀경찰 KGB보다 훨씬 막강한 권한을 가진 조직”이라며 “앞으로 민주인사들에 대한 탄압이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시진핑 1인에 대한 권력집중을 놓고는 이미 덩샤오핑(鄧小平) 이래 견지돼온 ‘집단영도원칙’에 위배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홍콩 시사평론가 린허리(林和立)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시진핑은 이미 장쩌민이나 후진타오 전 주석보다 훨씬 막강한 권력을 손에 넣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시사평론가 황중칭(黃忠淸)은 “전면심화개혁영도소조는 경제 분야를 총괄하는 조직”이라며 “시진핑이 이 소조의 조장을 맡을 경우 경제대권까지 거머쥐는 상황이 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리커창 총리가 ‘개혁영도소조’를 이끌게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