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공동역사서 제안] 지구촌 모든 교민 진출국 현지어 한국사 교재 제작

입력 2013-11-14 18:16

청와대와 정부가 해외교민 자녀들의 역사 교육을 위해 모든 교민 진출국의 현지어로 역사 교재와 한글 교재를 제작하는 방안을 전향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이 해외순방 과정에서 접수한 교민들의 민원에 따른 조치다.

박 대통령은 지난 2∼9일 프랑스 영국 벨기에 순방을 비롯해 취임 후 다섯 차례 외국 방문을 하면서 순수 국내 담당 참모 부서인 민정수석실 임종훈 민원비서관을 항상 대동했다. 임 비서관은 방문지마다 교민 민원을 챙기는 역할을 맡았다. 역대 정부에서 대통령의 외국 방문에 민정수석실 민원비서관이 수행단에 포함된 경우는 없었다. 그만큼 해외동포들의 ‘손톱 밑 가시’를 뽑아줘야 한다는 박 대통령의 의지가 확고했다는 전언이다.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정부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해 온 박 대통령의 디테일 리더십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민원비서관실에 접수된 교민 민원 중 가장 많았던 게 바로 자녀들의 모국 역사와 모국어 교육 문제였다. 벨기에 등에서는 한글·한국 역사학교를 만들어 가르치려 해도 영어 등 주요국 언어로 제작된 교재밖에 없어 현지어만 익힌 아이들이 제2외국어까지 배워야 하는 어려움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는 민원이 줄을 이었다는 것이다. 교육부는 청와대의 지시를 받자 부랴부랴 교민 진출국 현황을 파악해 현지어 교재 제작 대책 수립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도 교민들의 민원은 다양했다. 박 대통령이 지난 6일 영국 런던 임피리얼대학을 방문했을 때는 한 유학생이 “창업하려고 휴학해서 4학기 지나면 출교 조치가 된다. 창업휴학 학기를 과학기술전문대학들처럼 8학기 정도로 늘려 달라”고 했다. 지난 10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는 현지 기업을 운영하는 교민회 간부가 “국내 대기업과 납품 거래를 하면 항상 원래 계약가보다 10% 정도는 돈을 덜 받게 된다. ‘갑의 횡포’가 여기선 더 심하다”고 호소했다. 동포 간담회에선 한 교민이 “급하게 한국에 가야 하는데 자카르타 주재 대사관이 입국 비자를 내주지 않는다”고 하자 즉시 비자가 발급되기도 했다.

박 대통령이 순방 때마다 민원을 챙긴다는 입소문이 나면서 세계 각국에 사는 교민들은 “우리 사는 곳엔 언제 오시느냐”며 청와대에 민원을 제기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14일 “평소 교민 민원을 제대로 챙기지 못한 현지 공관들이 바짝 긴장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