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4전5기 도전장… 제4이통사 이번엔 탄생할까
입력 2013-11-14 18:08 수정 2013-11-14 22:46
한국모바일인터넷(KMI)이 제4이동통신사업자 선정 ‘4전5기’ 도전에 나선다. KMI는 14일 미래창조과학부에 기간통신사업 허가신청 접수를 마쳤다고 밝혔다.
미래부는 신청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적격 심사를 실시하고 120일 이내에 기술·재정적 능력, 이용자보호계획 적정성 등 사업계획서를 심사해 허가 여부를 결정한다.
KMI는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어떤 조직이든 기업이든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국민에게 통신서비스를 팔아선 안 된다”고 출사표를 던졌다. 이동통신 3사의 과점 구조를 깨야 국민에게 좀 더 저렴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공종렬 KMI 대표이사는 “통신서비스는 이미 전기, 수도, 가스처럼 공공서비스처럼 돼 있지만 대중의 이익에 반할 경우 이를 제재할 장치가 없다”면서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는 경제주체가 영향력을 발휘하면 곤란하다는 게 제4이동통신 사업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KMI는 2015년 4월 수도권과 광역시 등 전국 85개 지역에서 서비스를 시작하고 7월에는 전국 서비스를 개시한다는 목표다. 가입비는 전면 폐지하고 음성통화는 월 기본료 8000원, LTE 데이터는 월 3만원에 무제한 제공할 계획이다.
공 대표는 “1000만 가입자까지는 무제한 데이터를 제공해도 망에 무리가 없을 것”이라며 “서민 가계의 경우 통신료가 지금보다 30%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전까지 와이브로로 네 차례 제4이동통신 사업자 신청을 했던 KMI는 이번엔 중국 등에서 표준으로 채택된 LTE-TDD(시분할)를 선택했다. 중국시장 공략을 위해 LTE-TDD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에릭슨엘지, 노키아지멘스네트워크, 화웨이, 알카텔루슨트 등과 전략적 제휴를 했다. KMI는 국내 50여 중소기술기업과 LTE-TDD 안테나, 단말, 전송장비 등을 함께 개발하는 제휴도 맺었다.
KMI의 허가 여부는 설립과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얼마나 확보하느냐에 달려 있다. 이전 4번의 시도 모두 재정 문제가 발목을 잡았기 때문이다. KMI는 설립자본금 규모를 8530억원으로 하고 2014년까지 자기자본을 2조1000억원으로 늘리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 차이나콤이 300억원을 투자해 주주로 참여하는 등 법인 및 개인사업자 234곳, 개인 380명 등이 주주로 참여했다. 홍콩 투자업체로부터 1조2000억원 규모의 투자의향서(LOI)를 받기도 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