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 “한·중·일 공동 역사교과서 만들자”
입력 2013-11-14 17:57 수정 2013-11-14 22:20
박근혜 대통령이 과거사 왜곡 문제로 갈등을 빚는 한·중·일 간의 공동 역사교과서 발간을 제안했다.
박 대통령은 14일 국립외교원 설립 50주년 기념 국제 학술회의에서 축사를 통해 “동북아 평화협력을 위해 먼저 역내 국가들이 동북아 미래에 대한 인식을 공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독일과 프랑스, 독일과 폴란드가 했던 것처럼 동북아 공동의 역사교과서를 발간함으로써 협력과 대화의 관행을 쌓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의 제안은 낮은 단계(비정치적 사안)의 협력을 통해 신뢰를 구축해 정치·안보 등 높은 단계의 문제 해결로 나아가겠다는 자신의 ‘동북아평화협력구상(서울프로세스)’을 구체화한 것으로, 중국과 일본이 이를 수용할지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동북아를 유럽연합(EU)과 같은 공동 시장으로 만들 수 있다면 우리에게 엄청난 기회를 가져다줄 것이지만, 엄청난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동북아의 정치·안보적 현실은 역내 통합을 뒷받침하기보다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지금 이 순간에도 북한은 핵 개발을 계속하며 긴장을 유발하고, 역내 국가 간 역사관의 괴리로 인한 불신과 영토 문제를 둘러싼 충돌 소지도 커지고 있다”며 “분명 아시아적 패러독스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스가 장관은 정례회견에서 “과거의 문제에 대해서는 일본 측의 입장과 노력을 한국 측에 충분히 설명해 왔다”며 “일본 측의 (이러한) 메시지를 있는 그대로 (한국 측이) 받아들였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매우 중요한 이웃국가로 협력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끈기 있게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