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치매 예측 ‘표준 뇌지도’ 만든다
입력 2013-11-14 17:56 수정 2013-11-14 22:24
정부가 향후 5년간 최대 300억원을 투입해 퇴행성뇌질환인 치매 예측을 위한 한국인 표준 뇌지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를 토대로 이르면 2017년 말부터 전 국민 대상의 알츠하이머성 치매 조기진단 서비스가 시작될 전망이다.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상한 노인 치매의 근원적 해결책을 정부가 찾아 나선 것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4일 서울대·조선대·삼성서울병원이 공동 참여하는 ‘치매 뇌지도 구축 및 조기 진단법 확립 사업’을 신규 과제로 정하고 연구개발에 본격 착수했다고 밝혔다. 지난 6월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에서 확정한 ‘제2차 뇌 연구 촉진 2단계 기본계획(2013∼2017)’의 후속 조치다.
치매 뇌지도 구축은 MRI(자기공명영상)와 PET(양전자방출단층촬영) 등 첨단 뇌영상촬영장비를 활용해 60∼80대(일반인, 환자) 3500여명의 수년간 뇌 변화 영상을 확보,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작업이다. MRI 영상은 뇌세포 사멸로 인한 구조적 변화를, PET 영상은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독성물질 ‘베타아밀로이드’의 유무를 보여준다. 또 이들의 혈액과 유전체에서 치매 유발 ‘바이오마커’(표지물질)를 찾아내 뇌 영상과 함께 종합 분석함으로써 치매 진단용 표준 프로토콜로 정하겠다는 것이다.
미래부는 “치매 예측 표준이 만들어지면 국민이 의료기관에서 찍은 뇌 영상 및 혈액검사 결과 등과 비교해 치매 발병 가능성을 일찍 파악할 수 있고 맞춤형 대처를 통해 연간 10조원에 달하는 사회적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4년간 65세 이상 치매 노인 증가율은 26.8%로 같은 기간 노인 인구 증가율(17.4%)을 크게 웃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3년 현재 국내 65세 이상 치매 환자는 57만6000명으로 전체 노인의 9.4%다. 2020년에는 84만명으로 증가해 유병률이 처음 1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전체 치매 질환의 70%를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병은 진단과 예측이 어렵고 사망률도 높다. 미래부 관계자는 “치매 뇌지도 구축 작업에 3년 정도 걸리고 이후 전국 의료기관에 적용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단계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