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형마트 평일휴무는 새 상생모델
입력 2013-11-13 17:37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을 일요일이 아닌 평일로 바꾸는 지방자치단체가 늘고 있다. 일요일 의무 휴업의 반사이득을 얻어야 할 전통시장이 정작 매출이 늘지 않자 대형마트와 협의를 거쳐 5일장이 열리는 날이나 주중 특정 요일 등 지역 특성에 맞는 날을 의무 휴업일로 정하는 데 앞장서고 있는 것이다. 이는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이 모두 실익을 얻을 수 있는 윈-윈 모델로 주목에 값한다고 본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지난 4월 경기도 포천시, 10월 충남 보령시가 일요일 대신 평일에 대형마트 휴업을 의무화했고, 강원도 강릉시와 세종시도 이달 중으로 평일 휴업 대열에 동참한다. 이로써 평일 휴업을 선택한 지자체는 지난해나 올 초부터 이를 실시하고 있는 경기도 파주·고양시, 제주도, 경북 영주시 등 7개 지자체에 이어 모두 11개로 늘었다.
보령시는 시내 6개 대형 유통업체의 의무 휴업일을 둘째, 넷째 일요일에서 둘째, 넷째 수요일로 바꾼 대신 이들의 개장시간을 매일 오전 10시로 2시간가량 늦췄다. 대형마트는 고객이 많이 찾는 일요일 영업을 재개해서 좋고, 전통시장은 특성상 노인들이 많이 찾는 이른 아침시간대를 독점함으로써 살 길을 찾았다. 파주시는 전통시장 상인들이 대형마트 휴업일을 금촌장과 문산장 등 5일장이 서는 매월 6일과 21일로 바꿀 것을 시의회에 건의해 관철시켰다. 제주도내 대형마트들은 둘째 금요일과 넷째 토요일에 쉬고 있다. 관광지 특성상 대형마트가 일요일에 쉬면 관광객 지갑이 열리지 않아 지역주민 소득에 오히려 손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 지정 제도가 시행된 지 1년반이 넘었지만 어느 당사자도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제도 시행 초기에는 전통시장의 매출이 다소 늘었고, 대형마트의 매출이 감소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대형마트의 매출은 증가세로 돌아섰고, 재래시장의 매출은 감소했다. 전통시장과 대형마트가 일요일 손님을 놓고 다투는 한 결과는 뻔하다. 양자가 지역 특성을 반영해 진정으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머리를 맞대고 도출하면 길은 얼마든지 보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