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시리아 5배 규모 화학무기 보유 추정”

입력 2013-11-12 22:14

군축·비확산 전문가인 마크 피츠패트릭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핵비확산·군축연구팀장은 12일 “북한은 시리아의 5배인 2500∼5000t의 화학무기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피츠패트릭 팀장은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2013 서울안보대화(SDD)에서 이같이 밝히고 “화학무기금지기구(OPCW)에 가입하지 않은 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양의 화학무기를 보유한 북한을 압박해 국제 비확산 규범을 지키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제사회는 북한이 불법으로 핵과 미사일을 개발할 수 있는 물질 수입이나, 기술·무기 수출 움직임도 철저히 차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인민대 스인훙(時殷弘) 교수는 “유엔 산하기구나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 화학무기 문제를 공식 제기하면 중국 정부는 강력하게 모든 화학무기 비축을 반대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스인훙 교수는 2011년 이후 중국 국무원 자문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외교부는 최근 OPCW에 시리아 화학무기 사찰·폐기를 위한 한국 전문가 12명의 명단을 제공했다고 발표했다. 명단에 포함된 전문가들은 화학무기 폐기, 운송, 샘플 분석 등에서 전문성을 갖춘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선 정부가 북한과 시리아 간 화학무기 커넥션 규명을 위해 시리아 화학무기 사찰·폐기 활동에 적극 참여하기로 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북한과 시리아는 그동안 화학무기 개발 과정에서 긴밀히 협력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2009년 북한에서 시리아로 보내는 수만 벌의 방호복이 적발되고 북한 기술자들이 시리아에서 활동하다 사고를 당했다는 주장도 나온 상태다.

OPCW는 지난 9월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118호에 따라 유엔과 함께 시리아 화학무기 제거작업을 진행 중이다. 시리아 당국은 OPCW 사찰팀 검증 아래 지난달 화학무기 제조·배합시설 등을 파괴했다. 이미 생산된 화학무기의 반출, 폐기 과정은 남아 있다. 우리나라는 1997년 OPCW 창설 때부터 계속 집행이사국으로 활동하고 있다.

김재중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