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채 퇴진·위성 매각 논란 맞물려… KT ‘사면초가’

입력 2013-11-12 18:17 수정 2013-11-12 22:43


이석채 KT 회장이 결국 회사를 떠났다. KT는 비상경영체제를 선포하고 이른 시일 내로 후임자 인선 작업에 착수키로 했다. 최고경영자 부재에 검찰 수사, 무궁화 위성 불법 매각 논란까지 겹치면서 KT는 사면초가 상황에 빠졌다.

KT 이사회는 12일 이 회장의 사임을 수용했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오후 2시쯤 이사회에 출석해 사임 의사를 전달했고, 이사회는 수용했다. 이 회장은 “KT 임직원과 함께 일할 수 있었던 것을 인생의 축복으로 생각하고 끝까지 잊지 않겠다”고 퇴임 소감을 밝혔다. 이 회장은 사표를 제출한 후 2시50분 이사회장에서 나왔다. 이 회장은 자연인 신분으로 돌아갔지만 검찰 수사는 계속 받아야 한다. 이 회장의 배임 혐의를 수사 중인 검찰은 정치권 로비와 부당거래 등으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검찰은 이달 중에 이 회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것으로 전해졌다.

비상경영 체제는 당분간 표현명 텔레콤&컨버전스(T&C) 부문 사장이 직무대행으로 책임진다. 이사회는 다음 주 초에 이사회를 열고 정관에 따라 최고경영자(CEO) 추천위원회를 구성해 후임 선정 절차에 들어간다.

하지만 후임 인선이 순탄치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벌써부터 하마평에 오르내리는 정·재계 인사들이 있는 데다 정치권에서도 노리는 인물이 많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출신 이기태 전 부회장, 황창규 전 사장은 물론 형태근 전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의원, 김동수 전 정보통신부 차관 등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여기에다 이 회장 측근으로 분류되는 임원 30여명도 상당수 교체되는 등 인사태풍이 불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최민희 의원은 지난달 국정감사에서 이 회장의 ‘낙하산 인사’라며 36명의 임원 명단을 공개하기도 했다.

시민사회단체는 박근혜정부의 낙하산 인사는 안 된다고 반발하고 있다. KT 새노조, 참여연대 등 17개 노동조합·시민사회단체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적 여론 수렴 과정을 거쳐 CEO 후보를 추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여기에다 국정감사에서 문제 제기됐던 무궁화 위성 불법 매각 논란은 시간이 갈수록 점점 커지고 있다. KT가 의혹 해소를 위해 기자간담회를 열어 설명했지만 미래창조과학부가 강경한 입장으로 압박하고 있다. 미래부는 KT가 무궁화 위성을 매각하는 과정에서 우주개발진흥법을 위반했다고 판단하고 처벌 절차에 돌입했다.

우주개발진흥법에 따르면 우주물체의 소유권이 변경될 경우 이를 15일 이내에 주무부처인 미래부에 신고해야 한다. KT는 2010년 1월과 2011년 9월에 각각 무궁화 2호, 3호를 홍콩의 위성서비스 업체에 넘기고도 알리지 않았다.

미래부는 KT에 18일까지 의견진술서를 제출토록 통보했다. 의견진술서를 토대로 과태료 부과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앞서 11일에 미래부는 이 회장을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기도 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