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찬현 “국정원 사건 감사여부 검토”
입력 2013-11-12 18:12 수정 2013-11-12 23:01
황찬현 감사원장 후보자는 12일 국가정보원 등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의혹과 관련해 “법적, 기술적 제약이 없는 범위 내에서 감사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날로 황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마무리된 가운데 야당이 청문경과보고서 채택을 유보했지만 13일 ‘부적격’ 의견을 담는 선에서 처리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황 후보자 임명동의안은 15일 국회 본회의에 상정·처리될 전망이다.
황 후보자는 국회 인사청문특별위원회에 참석해 민주당 김기식 의원의 ‘국정원 사건에 대한 직무감찰을 할 용의가 있느냐’는 질의에 “원칙적, 일반론적으로는 대상이 되지만 기밀사항에 대한 법령 제약 등을 감안하겠다”며 이같이 답했다. 전날 재판 중인 점을 들어 “적절치 않다”고 한 발언보다 다소 진전된 입장이다. 동양 사태와 관련해서도 “내부 사전조사 결과에 따라 요건이 되면 감사할 생각이 있다”고 말했다.
청문회에서는 양건 전 감사원장 사퇴 배경을 둘러싼 감사원의 정치적 중립성 논란도 쟁점이 됐다. 특히 김영호 감사원 사무총장은 “감사원은 1·2·3순위 후보자를 추천했지만 중도 철회, 검증 탈락, 경력이 처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며 청와대가 장훈 중앙대 교수의 감사위원 임명제청 검토를 요구했다고 확인했다. 하지만 ‘양 전 원장과 청와대 갈등설’에 대해선 “사실이 아니다”고 일축했다. 양 전 원장은 증인으로 채택됐으나 퇴임 후 연락이 되지 않아 불출석했다.
황 후보자는 ‘청와대 눈치를 보지 않고 역할을 하겠느냐’는 민주당 김영주 의원의 말에 “동감한다”며 외압에 휘둘리지 않겠다는 뜻을 강조했다. 감사위원 임명제청과 관련, “공직선거에 출마 가능성이 있는 분들을 포함해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할 우려가 있는 인사는 적극 배제하겠다”고 했다. 또한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과 남재준 국정원장 등을 직무 이외에 만나지 않겠다”고 했고, ‘5·16 군사쿠데타가 맞느냐’는 질문에는 “사견으로 인정한다”고 답했다.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의 자체 부실 감사를 막기 위한 ‘감사직렬제’ 추진 의사도 표명했다.
한편 김기식 의원은 자신의 질의를 제지하는 새누리당 소속 서병수 특위 위원장에게 “왜 이렇게 친박(친박근혜) 티를 내느냐”고 발언해 여당의 비판을 받았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