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없이 끝난 이란 핵협상… 케리 美국무, 수습 안간힘

입력 2013-11-12 18:03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이란 핵 협상 타결 실패를 수습하는 데 총력을 쏟고 있다. 협상에 회의적인 아랍 우방국들을 다독이고 서방국들의 ‘단합’을 유지하는 한편 미 의회의 반대도 누그러뜨리는 세 가지 과제를 해결해야 하는 형국이다. 외교적 해법이 최선임을 설득하는 데 한층 더 공을 들일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케리 장관은 11일(현지시간) 최근 제네바 핵협상에서 합의를 이루지 못한 것은 이란의 반대 때문이었다고 밝혔다.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을 찾은 케리 장관은 이날 아부다비 기자회견에서 “토요일(9일) 이란에 마지막 제안을 할 때 P5+1(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과 독일) 사이에 이견은 없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는 협상이 타결 직전 무산된 원인과 관련, 프랑스의 반대 때문이라는 보도를 부인한 것이다. 영국도 이란의 책임이라는 케리 장관의 발언에 힘을 실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케리 장관의 발언이 서방국 간의 갈등으로 비춰질 경우 이란의 협상 입지가 유리해지고, 이스라엘과 미 의회 강경파가 핵 협상에 대한 반대 목소리를 더욱 높일 것을 우려한 때문에 나온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주 케리 장관의 급선무는 의회 설득이다. 13일에는 상원 은행위원회 소속 의원들과 비공개 만남을 갖고 이란에 대한 추가 금융제재를 보류할 것을 촉구할 예정이다.

한편 이란과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이날 이란 핵 시설에 대한 광범위한 사찰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이란은 IAEA에 중부 아라크 지방에 건설 중인 중수로 발전소와 남부 반다르 압바스 가친 우라늄 광산의 사찰을 허용키로 했다. 아라크 중수로 발전소는 계획대로 내년 말 가동을 시작하면 핵무기의 원료인 플루토늄을 생산할 수 있어 서방이 우려를 제기해 온 곳이다.

하지만 이란의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이 진행 중인 곳으로 서방이 지목해 온 파르친 기지는 사찰 대상에서 제외돼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