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해외방문 필수품은? 도청 방지용 텐트
입력 2013-11-11 18:23
도·감청을 피하기 위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비밀병기’는 텐트였다.
전 세계 우방국 정상의 휴대전화까지 엿들어 온 오바마 대통령이 정작 본인의 해외순방 때는 ‘안전 텐트(Security tent)’ 속으로 들어가 도·감청을 피해왔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7일 오바마케어(건강보험개혁제도) 등록차질 문제와 관련, 대국민 사과로 자국에서 체면을 구긴 오바마 대통령이 대외적으로 또 한번 따가운 눈총을 받게 됐다.
신문은 10여명의 전·현직 정보기관 관계자를 인용해 오바마 대통령이 해외순방 때 방문 국가의 도·감청을 어떤 방식으로 피해왔는지 소개했다. 정상이 묵는 호텔에 도·감청 장비가 숨겨져 있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1970∼80년대 냉전시절에는 호텔방 벽이나 조명장치 속에 감시 장비가 설치돼 있는 게 다반사였고, 90년대 이후엔 창문을 향해 무선신호를 쏘는 기술만으로 방안 대화를 들을 수 있게 됐다. 이에 미국이 고안해 낸 것은 텐트였다. 대통령의 방과 가까운 방에 텐트를 둘러치고, 도·감청을 차단하기 위해 소음을 일으키는 각종 장비를 안에 설치한다. 오바마 대통령은 기밀서류 검토나 참모들과 민감한 대화를 할 때 무조건 이곳에서 했다고 한다.
백악관은 2011년 ‘안전 텐트’를 공개하기도 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를 방문했을 때 힐러리 클린턴 당시 국무장관,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 등과 텐트 안에서 하루 전 시작된 리비아 공습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사진이었다. 당시에는 무심히 지나쳤지만 평범한 텐트가 아니었던 셈이다.
‘안전 텐트’는 대통령뿐 아니라 안보 관련 정보를 다루는 의원, 외교관, 미군 지휘관 등도 해외 방문 시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청 파문에 휘청거리는 오바마 대통령은 국내에서도 입지가 위태로운 처지다. 미 의회전문매체 ‘더 힐’은 오바마 대통령이 2009년 1월 취임 후 공식적으로 사과의 뜻을 밝힌 것이 최근 오바마케어 관련 대국민 사과를 포함해 모두 9차례라고 전했다. 1기 행정부 때 6차례 사과는 주로 말실수로 인한 유감 표명 차원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재선 이후 3차례 중 2차례는 부실 정책에 따른 ‘대국민 사과’여서 무게감이 다르다. 며칠 전 오바마케어 사과 외에 지난달엔 연방정부 셧다운(부분 업무정지) 관련 기자회견에서 국민에게 고개를 숙였다. 앞서 3월에는 캘리포니아주 여성 검찰총장 카말라 해리스에 대해 “지금까지 가장 예쁜 검찰총장”이라고 말했다가 구설에 오르자 해리스 총장에게 전화를 걸어 사과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