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동북아평화협력구상’ 한층 탄력… 푸틴과 정상회담으로 주변국 폭넓은 지지 확보

입력 2013-11-11 18:00 수정 2013-11-11 22:04


박근혜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13일 한·러 정상회담을 계기로 새 정부 대외 및 남북정책 기조인 동북아평화협력구상과 한반도 신뢰프로세스가 본격적인 추동력을 갖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정상외교를 통해 이른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 4강 가운데 일본을 제외한 3개국의 이해와 지지를 얻으면서 앞으로 관련 구상을 이행하는 데 한층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박 대통령은 이미 미국, 중국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이들 구상에 대한 지지를 받았다. 한·미 양국은 구체적으로 지난 5월 정상회담에서 ‘동맹60주년 체결 기념 공동선언’을 통해 ‘두 나라가 동북아에서의 평화협력시대 구축을 위한 방안을 함께 모색할 준비가 돼 있다’는 합의문을 도출했다. 6월 열린 한·중 정상회담의 미래비전 공동성명에서도 중국은 ‘동북아평화협력구상에 대해 적극적으로 평가하고 원칙적으로 지지한다는 입장을 표명한다’고 천명한 바 있다. 외교 소식통은 11일 “푸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도 동북아평화협력구상에 대한 비슷한 수준의 지지 언급이 담길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문제는 일본이다. 동북아의 정치적 냉각기를 불러온 장본인인 일본의 정치지도자들 태도가 바뀌지 않는다면 정상외교는 당분간 어려운 형편이기 때문이다.

한편 청와대는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과 구자열 LS그룹 회장 등 러시아 현지 대형 프로젝트가 걸린 기업 총수들을 일부 선정해 푸틴 대통령과의 정상 오찬에 초청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청와대는 북한과 러시아를 철도로 잇는 ‘나진∼하산 프로젝트’와 러시아 전력망 사업 등에 참여하려는 기업 총수들을 초청 후보군에 올려놓고 곧 최종 명단을 각 기업에 통보할 계획이다. 다만 최근 미국으로 출국한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은 일정이 맞지 않아 오찬에 참석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