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황찬현 쉽게 통과 못시켜”… ‘인사참사 트라우마’ 靑 곤혹

입력 2013-11-11 17:59 수정 2013-11-12 00:33

청와대가 황찬현 감사원장 후보자를 필두로 11일부터 시작된 장관급 공직 후보자들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야당이 국가정보원 정치개입 의혹사건을 빌미로 ‘원샷 특검’을 주장하며 다시 장외투쟁에 돌입한 마당에 이들 인사를 둘러싼 ‘인물 시비’까지 불거질 경우, 엉킨 정국의 실타래가 더 꼬여 아예 풀 수 없을 정도가 돼 버릴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다.

당장 민주당은 첫 주자인 황 후보자에 대해 다른 의혹 제기 없이 자료제출 미비만을 빌미삼아 청문회 개회를 한 시간 이상 지연시켰다. 지난달 중순 박근혜 대통령이 인선한 감사원장·보건복지부장관·검찰총장 등 3인 가운데 가장 의혹이 없다고 보는 ‘평생 법관’ 출신의 황 후보자조차 야당은 “쉽게 인사청문회를 통과하게 그냥두지 않겠다”는 속내를 드러내자, 청와대는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했다.

청와대로서는 황 후보자보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와 김진태 검찰총장 후보자가 더 걱정스럽다. 복지재정 전문가로 알려진 문 후보자는 한국개발연구원(KDI) 재직시절 박근혜정부가 내놓은 ‘기초연금의 국민연금 연계안’ 반대 소신을 편 적이 있고, 김 후보자는 아들의 병역특혜 논란과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의 인선과정 개입 의혹을 받고 있다.

만약 이들 후보자 중에 한 사람이라도 인사청문회 고비를 제대로 넘지 못하고 낙마한다면 청와대는 치명타를 입을 수 있다. 안 그래도 요원해진 민생입법 처리가 완전히 물 건너 가 버리게 된다. 더 나아가 지난 3월 장·차관급 고위공직후보자들의 잇따른 사퇴로 벌어졌던 ‘인사 참사’가 다시 재현되면 박 대통령의 인사 전반을 놓고 야당이 맹공격을 퍼부을 수 있다.

일단 청와대는 민주당이 제기하는 후보자들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하지 않고 있다. 괜히 적극 해명에 나섰다가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더 큰 논란이 벌어질 가능성을 염두에 둔 스탠스다.

그러나 청와대는 세 후보자 스스로 개인적인 문제점을 충분히 밝혀 무사히 ‘후보자’ 꼬리표를 떼고 제 자리에 안착하길 고대하는 눈치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