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의원들, 본격 의석 수 늘리기 나섰는데… 영호남 줄타기 벗어나 ‘충청권 대망론’ 시동거나

입력 2013-11-10 18:00 수정 2013-11-10 22:53


충청권 국회의원들이 의석 수 늘리기에 본격적으로 나서면서 정치적 시험대에 올랐다.

우선 영호남 양강 구도에서 줄타기를 해왔던 충청권이 홀로서기를 통해 자기 주장을 관철시킬 수 있을지 여부가 주목된다. 충청권이 정치적으로 불평등한 대우를 받게 된 것은 영호남의 암묵적 동의 때문이라는 피해의식이 적지 않다.

따라서 충청권 의원들이 의석 수 늘리기에 성공한다면 기존 영호남 대립구도에 상당한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이 같은 움직임은 충청권 대망론으로 집약된다. 하지만 여야 의원들 간 미묘한 시각차가 있고, 무리하게 시도하다가 자칫 고립을 자초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완구(충남 부여·청양) 의원을 중심으로 한 새누리당 충청지역 의원들은 12일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대전·충남·충북 등 충청권 국회의원 의석 수 늘리기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민주당 충청권 의원들도 방법론은 다르지만 선거구 조정에 공감하고 있어 여야 충청권 의원들이 의석 수 늘리기에 힘을 합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새누리당 충청권 의원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충청권 인구가 호남권을 제치고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영남권(부산·대구·경북·경남)에 이어 권역별 인구 3위에 올랐으나 늘어난 인구에 비해 국회의원 수가 여전히 적은 문제를 이슈화할 방침이다. 이들은 인구편차를 고려해 인구가 많은 지역에 더 많은 지역구를 배정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발의할 계획이다.

이완구 의원은 10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현재 ‘표의 등가성’ 문제가 대단히 심각하다”며 “이상적인 의석 수 시뮬레이션과 비교하면 수도권과 충청권이 불평등을 겪고 있고 영호남이 이득을 얻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자회견에는 이 의원을 포함해 이인제·홍문표·김태흠·이명수·성완종·김동완(이상 충남) 의원과 정우택·윤진식·송광호·박덕흠·경대수(이상 충북) 의원, 이장우·박성효(이상 대전) 의원 등 충청권 현역의원들이 대거 참석할 예정이다.

이들은 충청권이 늘어난 인구에 비해 지역구가 적어 정치의사가 ‘과소 대표’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충청권 인구는 지난 9월 30일 기준 526만3233명으로 호남권(525만329명)과 대구·경북(TK·520만384명)을 이미 추월했다. 하지만 국회의원 수는 호남권보다 5명, TK보다도 2명이나 적다.

그러나 충청권 의석 수 늘리기에 있어 여야간 입장 차이가 불가피하다. 여야 모두 우세지역의 지역구가 늘어나기를 희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 지역감정을 다시 불붙이는 변수가 돼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호남권 등 의석 수 감소가 우려되는 지역의 반발도 풀어야 할 난제다. 민주당 이상민(대전 유성) 의원은 앞서 지난 7일 선거구 획정에서 인구수를 우선 고려하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이 의원은 “충청권 의석 수 문제는 정치권이 나서기보다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구 획정 권한을 갖는 것이 옳다”며 “이 문제를 정치권에서 나설 경우 정치인의 이해관계에 따라 좌우되거나 거래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또 “단순히 인구수만 기준으로 선거구를 획정할 경우 영남권과 호남권 선거구는 대폭 줄고 수도권은 대폭 늘어난다”며 “선거구 획정 권한을 선관위로 넘겨 인구수, 도시와 농촌 선거구의 차이 등을 과학적·실증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