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A도 자국민 통신기록 열람했다
입력 2013-11-08 22:28
미국 국가안보국(NSA)에 이어 중앙정보국(CIA)도 자국민들의 통신기록을 열람해 온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예상된다.
뉴욕타임스(NYT)는 7일(현지시간) CIA가 매년 1000만 달러(106억1000만원) 이상을 내고 통신사업자 AT&T의 통화기록 등을 무단 열람해 왔다고 보도했다.
CIA와 AT&T 간의 ‘협력’은 법원의 영장 등 정당한 공권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양쪽의 편법적인 합의에 따라 이뤄진 것이어서 일반 시민들의 반발이 일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CIA가 국외 테러 용의자의 전화번호를 문의하면 AT&T는 자체 보유 통화정보를 검색해 테러 용의자가 누구와 통화하는지 등을 파악해 알려줬다. AT&T는 회사의 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고객들의 국내외 통화 관련 광범위한 기록과 정보를 확보하고 있다. AT&T는 통화 일시, 분량, 상대방 전화번호 등을 CIA에 넘겨준 것으로 알려졌다.
CIA가 테러 용의자를 자의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AT&T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까지 넘겨줬다는 점에서 상당수 미국 시민의 정보가 고스란히 노출돼 온 셈이다. 신문은 이 같은 정보수집 활동이 2010년 이전부터 시작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또 미 연방의회 상·하원 정보 관련 위원회는 CIA의 이런 활동에 대해 정기적으로 보고받아 온 것으로 알려졌다고 덧붙였다.
CIA와 AT&T는 이 같은 의혹에 대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익명을 요구한 정보 분야 관계자들은 국외 테러 관련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법원의 영장 등 합법적인 절차를 거치면 시간이 지연된다는 점에서 정보기관들이 편법으로 이런 활동을 해왔을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