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동남아·러시아·중동에 한국 의료 수출 확대 “메디컬 코리아 벨트 만들자”

입력 2013-11-08 18:11


최근 중동지역을 중심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한국 의료의 해외 진출을 뒷받침하기 위해 특별법 제정과 함께 500억원 규모의 펀드 조성이 추진된다.

정부는 8일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141차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어 ‘한국 의료 해외진출 확대방안’을 상정해 의결했다. 의료 분야 해외 진출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인프라 구축이 주요 내용으로 담겼다. 최근 사우디아라비아를 중심으로 불붙은 의료 한류를 인근 국가인 오만, 쿠웨이트, 리비아 등으로 확대해 중국과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러시아, 중동 등을 아우르는 ‘한국 의료 벨트’를 만들자는 취지다.

현 부총리는 이와 관련, “의료업을 포함한 국내 서비스업이 진입 규제라는 울타리에 의지해 손바닥만한 국내시장을 놓고 각축을 벌이는 것은 아닌지 돌아볼 때”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정부는 우선 금융, 세제, 인력양성 등 의료시스템 해외 진출을 지원할 근거가 되는 ‘국제의료사업 육성지원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국내 의료법인이 해외에 진출하는 과정에서 국내 의료법과 상충하는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미리 관련 법규를 정비하자는 것이다. 또 진출국에서 의료기관을 개설하고 의료인 면허를 인정받기 쉽도록 기존에 몽골 러시아 베트남 중국 등과 함께 세운 의료분야 정부 간 협의체를 사우디,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동 및 중앙아시아 지역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내년에는 해외진출을 시도하는 의료기관의 자금조달을 지원하기 위해 500억원 규모의 ‘한국 의료시스템 해외진출 전문 펀드’도 조성된다. 복지부와 정책금융기관이 공동출자한 100억원이 종잣돈이 될 전망이다. 이달 안에는 ‘국제의료사업 민관합동 태스크포스’도 꾸려져 의료 해외 진출을 위한 범부처 사령탑 역할을 맡게 된다. 이영찬 복지부 차관은 “의료 해외 진출과 해외 환자 유치는 대표적인 융·복합 산업”이라며 “보건의료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도록 민관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을 결집시키겠다”고 말했다.

이영미 기자 ym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