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원전비중 29%’ 무게… 2035년까지 10기 안팎 추가건설 필요

입력 2013-11-08 18:05

정부가 2035년까지 국내 원전 비중을 29%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끌어 올리는 것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지난달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을 위한 민관 합동 워킹그룹’에서 권고한 22∼29% 범위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8일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다음달 확정 예정인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정부안에서 2035년까지 원전 비중을 29%에 가까운 수준으로 유지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전날 국회에서 열린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공청회에 참석한 김준동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이 “민관 합동 워킹그룹 권고안 중 가급적 높은 수준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힌 것과 같은 맥락이다.

정부는 2008년 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발표 당시 2030년까지 원전 비중을 41%로 높이기로 했다. 하지만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국내 부품 사고 등이 겹치면서 비중을 낮춰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에 따라 워킹그룹은 지난달 22∼29% 수준으로 원전 비중을 낮춰 권고했다. 정부 검토안은 현재의 원전 비중(26.4%)보다 높아지는 것이어서 2035년까지 29%로 할 경우 10기 안팎의 원전이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