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 “한·일 정상회담은 양국관계 역효과”… 유럽순방 마쳐
입력 2013-11-08 22:59 수정 2013-11-09 00:19
박근혜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한·유럽연합(EU) 정상회담을 마지막으로 6박7일간의 유럽순방을 마쳤다. 이번 유럽순방은 미국 중국 러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으로 이어진 박 대통령의 취임 첫해 해외방문 외교의 마무리이기도 하다. 외교적 성과를 안고 국내에 돌아온 박 대통령은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의혹에 대한 야당의 전면 특검 요구 등 다시 내치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당장 18일 국회 시정연설에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한·일 정상회담은 양국관계에 역효과”=박 대통령은 “현재 상황에서 한국과 일본이 정상회담을 한다면 양국 관계 악화라는 역효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벨기에 브뤼셀에서 한·EU 정상회담이 끝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박 대통령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해) 일본의 일부 지도자가 과거로 역행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며 “정상회담을 하더라도 위안부를 만든 것이 ‘완전히 잘못된 일만은 아니다’라는 뜻을 받아들일 수 없고, 일본 지도자가 생각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박 대통령은 헤르만 반롬푀이 EU 상임의장, 조제 마누엘 바호주 EU 집행위원장과의 정상회담에서 ‘한·EU 수교 50주년 공동선언’을 채택했다. 공동선언은 2년 전 발효된 한·EU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해 “FTA의 완전한 이행을 통해 양측 간 교역과 투자를 계속 확대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명시했다. 또 “북한이 모든 현존하는 핵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방법으로 포기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취임 첫해 전방위 정상외교=박 대통령의 정상외교는 지난 5월 미국 워싱턴 방문으로 시작됐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한·미 동맹을 가장 긴밀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한층 더 업그레이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뿐 아니라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서울프로세스)에 대한 미국의 지지까지 이끌어냄으로써 한·미 간 대북공조의 틀도 완성했다.
이어 6월 중국 방문에서는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으로부터 북핵 불용과 대북 압박에 나서겠다는 메시지를 얻어냈고, 양국 간 경제협력 및 교역확대라는 성과도 올렸다. 역대 어느 정부보다도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공식회담=한국어 사용, 의회 및 대학방문=현지어 연설, 공식만찬=한복 착용’이라는 박 대통령 특유의 외교 공식(公式)이 정착되기도 했다.
9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방문차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찾아서는 러시아와의 한반도 및 유라시아 대륙 연결 철도 및 가스관 건설의 실질적 협력 틀을 마련했고, 곧바로 이어진 베트남 방문을 통해서는 동남아시아에 대한 ‘공동번영을 위한 세일즈 외교’ 윤곽도 선보였다. 10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및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 인도네시아 방문은 ‘박근혜식 세일즈 외교’ 등식을 보여주는 계기였다.
브뤼셀=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