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소비자들은 알았다, 알뜰폰이 싸다는 것을

입력 2013-11-08 17:34

최근 알뜰폰 누적 가입자가 200만명을 돌파하면서 우리나라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의 4% 수준을 넘어섰다. 특히 지난달에는 알뜰폰 가입자 순증(純增)이 4만7451명으로 2위인 LG유플러스(3만5649명)보다 1만명 이상 앞섰다. 이 추세대로라면 국내 통신시장이 ‘4강 체제’로 재편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참에 이동통신 경쟁정책의 틀을 바로잡아 월평균 15만원으로 세계 최고수준에 육박하는 가구당 통신비를 대폭 낮춰야 한다.

알뜰폰은 이동통신 3사의 통신망을 빌려 소비자에게 재판매하는 방식의 사업이다. 통신요금이 기존통신사보다 30∼40% 싸긴 하지만, 그 정도로 싸게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가 2G, 3G의 구형제품에 한정돼 있다. 그런데도 알뜰폰 쏠림현상이 나타난 것은 기존 3사의 고가 서비스 끼워팔기와 휴대전화 가격 거품이 심각하다는 점을 방증한다.

최근 알뜰폰의 약진은 유통망이 대폭 늘어난 덕분이다. 지난 9월말부터 우정산업본부가 유통망에 뛰어든 데 이어 지난달에는 이마트도 쇼핑금액 연계 할인제를 들고 가세했다. 우정사업본부에 따르면 알뜰폰 가입자가 구매한 단말기는 2G용 피처폰이 61%에 달했고, 가장 인기 있는 요금제도 월 기본료가 1500원인 상품이었다.

알뜰폰 수요확대와 통신요금 거품제거의 가장 큰 걸림돌은 기존 3사의 보조금 경쟁이다. 비싼 단말기 가격을 감추는 보조금은 공정경쟁과 합리적 소비를 가로막는다. 그간 과징금 인상으로는 보조금 관행을 근절할 수 없다는 게 드러난 만큼 당국은 형사처벌 도입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무선 데이터를 자주 쓰지 않거나 통화량이 많지 않은 소비자는 더 합리적 선택을 해야 한다. 또한 휴대전화 내수 규모가 줄어들고, 교체 주기도 늘어났지만, 중저가 단말기를 찾기는 점점 더 어려워진다. 정부는 제조사들이 다양한 가격대의 휴대전화를 공급하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도 자기 형편에 맞는 단말기를 쓰는 쪽으로 생각을 돌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