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정부 첫 한·중·일 고위급회의… 연내 3국 정상회담 개최 논의 못해
입력 2013-11-07 18:09 수정 2013-11-07 22:36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외교 당국 고위급 인사들은 7일 ‘제8차 한·중·일 고위급회의’를 갖고 3국 협력체제가 동북아 역내 평화와 안정, 번영을 위한 중요한 협력 틀이라는 점을 재확인했다. 그러나 회의에서 연내 3국 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하지 못했다.
이경수 외교부 차관보와 류전민(劉振民) 중국 외교부 부부장,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일본 외무성 외무심의관은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고위급회의에서 3국 간 협력을 계속 유지, 강화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정부 당국자가 밝혔다.
이 당국자는 “참석자들이 3국협력사무국(TCS) 역할과 기능을 보다 강화하고 사이버, 학술 등 신규 분야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자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측이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동북아평화협력구상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고, 3국 대표는 이런 구상이 상호 연계를 통해서 역내 평화협력에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관심을 모았던 3국 정상회담의 연내 개최 여부 등에 관한 구체적인 대화는 이뤄지지 않았다. 이번 회의에선 또 영토 문제, 과거사 인식 문제 등 한·일, 중·일 간 외교적 갈등을 불러일으킨 핵심 쟁점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도 이뤄지지 않았다.
정부 당국자는 “정상회담 개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공동 노력을 하기로 했다”고만 말했다. 이번 고위급회의는 박근혜정부를 비롯해 중국과 일본 모두 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열린 외교 당국 간 고위급 회의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