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청 이전 10개월, 내포신도시 명품 도시 요원

입력 2013-11-07 14:50

[쿠키 사회] 충남도청이 이전한 내포신도시가 출범한 지 10개월이 지났지만 명품도시로의 정착이 요원하다.

지난달 충남지방경찰청을 마지막으로 충남도청, 충남교육청 등 행정타운에 자리 잡은 주요 3기관이 이전을 마쳤다. 하지만 이전기관 종사자들이 내포 거주를 외면함에 따라 정주여건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고 있다. 대형마트, 종합병원, 대학 등은 유치될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다.

7일 충남도에 따르면 홍성·예산에 위치한 내포신도시는 2020년까지 인구 10만명의 도시 건설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총 사업비는 2조5692억원(보상 8400억원·공사 1조2285억원·설계비 5007억원)이 투입된다.

내포신도시 충남도청사가 문을 연 지 10개월이 지난 현재, 롯데캐슬 아파트 885가구가 입주했고 938가구 규모의 웅진스타클래스와 915가구 규모의 효성 더 루벤스가 공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동안 충남도가 유치 대상으로 정한 158개 이전기관 가운데 충남도청과 도교육청, 도경찰청, 내포 초·중등학교, 도 광역정신보건센터 등 44개 기관들이 이전을 마쳤고, 이들 기관의 상주직원은 약 2600여명에 달한다.

하지만 이전기관 종사자들의 상당수가 1인 가구 형태로 내포신도시에 거주하거나 여전히 대전에서 출·퇴근을 하고 있다. 내포신도시의 조기 정착을 유도해야 할 충남도청 지휘부조차 이주를 꺼리고 있다. 서기관급 이상 고위공무원 17명 가운데 가족들을 동반한 이주자는 단 3명 뿐이다. 주민등록 주소지를 옮기지 않은 간부도 5명이나 된다.

내포신도시 정주여건 마련을 위해서는 고위 간부들의 솔선수범이 중요하지만 정작 하위직 공무원들에게만 이주를 독려하는 앞뒤가 맞지 않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충남발전연구원 한 연구위원은 “내포신도시가 200만 충남도의 수부도시이자 명실상부한 도청소재지로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정주여건이 마련된 뒤 공무원들이 이주하겠다는 논리보다는 지휘부 공무원부터 정주환경 조성의 촉매제 역할을 하겠다는 마음자세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대전=국민일보 쿠키뉴스 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