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검찰 출두] 노무현·한명숙·안희정·이광재… 檢-친노, 참 끈질긴 악연
입력 2013-11-06 18:04 수정 2013-11-06 22:26
민주당 문재인 의원이 6일 검찰에 출두함에 따라 친노(親盧·친노무현) 세력과 검찰의 질긴 ‘악연’이 재연되는 형국이다. 친노와 검찰의 관계는 참여정부 때의 검찰 개혁을 둘러싼 갈등에서 비롯됐지만 그 절정은 노 전 대통령의 퇴임 후부터다.
당시 검찰은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의 정관계 로비, 이른바 ‘박연차 게이트’ 수사에서 노 전 대통령의 친형인 건평씨를 구속기소한 데 이어 그 이듬해까지 친노 인사들을 줄줄이 기소했다. 결국 이 사건으로 ‘우(右)광재’로 불렸던 이광재 전 강원도지사, ‘친노386’의 대표주자인 민주당 서갑원·최철국 전 의원이 현직을 잃었다.
또 최측근이었던 민주당 안희정 전 최고위원(현 충남도지사)을 비롯한 노 전 대통령의 부산상고 동문이자 ‘복심’으로 불린 정상문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 ‘왕특보’ 이강철 전 시민사회수석, 박정규 전 민정수석 등도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조사를 받거나 구속기소됐다.
특히 박 전 회장으로부터 500만 달러를 받았다는 의혹으로 대검 중수부 소환조사를 받은 노 전 대통령이 갑작스레 서거하는 비극이 벌어졌다. 이에 검찰의 ‘정치 보복’이라는 여론이 확산됐지만 악연은 이후에도 계속됐다.
참여정부에서 총리를 지낸 민주당 한명숙 의원은 2007년 9억여원을 받은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로 2010년 7월 기소됐다. 이후 1심에서 무죄판결이 났지만 최근 항소심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았다. 또 지난해 대선을 앞두고 4·11총선을 둘러싼 민주당의 돈 공천 의혹 수사에서도 친노는 타깃이 됐었다.
그리고 이번에는 노 전 대통령의 친구이자 비서실장을 지낸 문 의원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의 국가기록원 미이관 관련 수사에 참고인으로 소환됐다. 앞서 노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인 김경수 노무현재단 봉하사업본부장과 조명균 전 안보정책비서관 등도 검찰에 출두했다. 참여정부 때부터 이어진 검찰과의 악연이 이명박정권, 박근혜정권까지 3대째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