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채권시장 과열 양상… 연간 7조 규모

입력 2013-11-06 17:58


부실채권(NPL·Non Performing Loan) 시장이 연간 7조원 규모로 팽창하는 등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경기침체로 매년 15조∼16조원의 부실채권이 쏟아지고 있으며, 이렇다 할 투자처를 찾지 못한 연기금 등의 거액자금도 부실채권 투자에 몰리는 상황이다. 시장이 과열되면 채무자가 악성 채권추심에 노출될 위험성이 커지는데, 금융당국의 감독 및 규제를 받지 않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은행권은 올해 매각 및 상각 등으로 약 15조1000억원의 부실채권을 정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은행들이 매각·상각하는 부실채권 규모는 2008년 6조원에 불과했지만 2009년에는 13조6000억원으로 급증했다. 지난해에는 15조6000억원에 달했다. 연말 구조조정 대상 중소기업이 100개 이상으로 늘어나면 은행권의 부실채권 매각 규모는 더 커질 전망이다.

은행권은 분기마다 매각·상각 채권의 일부를 자산관리회사(AMC)로 불리는 자산유동화회사를 상대로 경쟁입찰에 부친다. 연간 입찰규모는 6조∼7조원가량이다. 시장 구조는 연합자산관리(유암코)와 우리F&I가 전체 물량의 70∼75%를 흡수하고, 한국개발금융과 파인트리자산운용 등 후발주자와 군소업체가 나머지 물량을 인수하는 식이다. 이들은 은행이 내놓은 부실채권을 사들여 정상화한 뒤 채권을 회수해 수익을 낸다.

연간 7조원 규모인 NPL 시장은 앞으로도 덩치를 키울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하면서 새로운 먹을거리 확보에 나선 금융사들이 NPL 시장에 눈을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어 회수가 여의치 않아지면 불법·악성 채권추심이 나타날 수 있어 금융소비자 피해가 우려된다는 지적도 크다.

실제로 대부업체의 무분별한 채권 추심 등으로 금융당국에 민원이 들어오거나, 제재를 당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NPL 시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며 “시장이 효율적이고 공정하게 돌아가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