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교사 배치 100% vs 26.1%

입력 2013-11-05 18:07 수정 2013-11-05 22:38


학생 맞춤형으로 전문적인 진로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진로진학 상담교사(이하 진로교사)가 일선 학교에 90% 이상 배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열악한 지역은 이런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어 하루빨리 지역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부는 올해 717명의 진로교사를 새로 선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로써 내년에는 전국적으로 5208명의 진로교사가 활동하게 된다. 중학교는 93.2%, 고교는 96.2%의 비율이다. 눈에 띄는 지역은 경북으로 157명을 새로 뽑았다. 100명 이하 소규모 학교가 많아 진로교사 배치율이 60∼70%에 머물렀지만 내년부터는 모든 중·고교에 진로교사를 둘 예정이다. 경북 외에도 대구·인천·광주·울산·세종·강원·충북·충남·전남·제주 등 11개 시·도교육청이 진로교사 배치율 100%를 달성한다.

문제는 전북이다. 올해 5명만 선발한 데 이어 내년에는 전혀 진로교사를 선발·배치하지 않아 진로교사 배치율이 전국에서 가장 낮은 26.1%를 기록했다. 전북 지역 중·고교생 7만9000여명(지난해 기준)이 전문적인 진로상담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것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진로교사가 없는 곳은 주로 일반 교사들이 진로교육을 하고 있어 전문성 면에서 차이가 난다”면서 “진로교사들 네트워크에도 들어가지 못해 정보도 느릴 수밖에 없고 그 피해는 학생들이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지속적으로 전북교육청에 진로교사 선발·배치를 독려하고 있다. 교원 임용권을 가진 교육감을 설득하는 한편 시·도교육청 평가와 연계해 불이익을 줄 방침이다. 박근혜정부 공약인 자유학기제가 2016년 전면 시행되므로 그 전에 전북지역 진로교사 배치율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에 전북교육청은 교과 교사도 부족한 실정에서 교육부가 대책 없이 밀어붙인다는 입장이다.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현재 진로교사 제도는 연수를 통해 교과 교사를 진로교사로 전환하는 식”이라며 “교육부는 전북지역 학생수가 계속 감소한다는 이유로 교사 정원을 줄이는 바람에 현재 교과 교사도 부족한 실정에서 진로교사로 돌릴 여력이 없다”고 반박했다. 전북은 최근 4년간 교사 450여명이 줄었으며, 정원 외로 250여명을 채용했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전북교육청은 교육부에 진로교사를 정해진 교사 정원과 무관하게 뽑을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교사 정원은 기획재정부, 안전행정부 등과 협의해야 하는 사안이라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사 정원을 늘리는 부분은 공무원 정원·예산과 관련돼 있어 쉽지 않다”면서 “전북 지역이 특히 여건이 어렵지만 다른 낙후 지역에 비해 배치율 격차가 큰 것은 교육감 의지와 무관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도경 황인호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