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50만명 이상 지방도시 16곳 ‘중추도시권’ 본격 육성
입력 2013-11-04 18:13
정부가 2015년부터 5대 광역시를 포함해 인구 50만명 이상 16개 지방도시를 묶어 개발하는 중추도시 생활권(중추도시권) 육성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국토교통부는 박근혜정부의 핵심 지역발전 정책인 ‘지역행복생활권’ 중 중추도시권 육성 방안을 4일 발표했다. 중추도시권은 대도시 또는 2개 이상 연담(인접)도시 인구가 50만명 이상인 지역이 인근 지역과 접근성, 연계성을 갖고 동일 생활권을 형성하는 곳이다. 현재 지방 한 개 도시 인구가 50만명 이상이거나 2개 연담도시 인구가 50만명 이상인 곳은 전국적으로 16곳에 이른다. 인구 기준에 미달해도 도청소재지가 위치한 지역 4곳까지 더하면 20곳이다.
국토부는 인구와 지역 의견 등을 감안할 때 중추도시권으로 지정될 수 있는 곳은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울산 등 지방 5대 광역시를 비롯해 강원도 춘천시, 강원 원주·충북 충주시, 충북 청주시, 충남 천안시, 전북 전주·군산·익산시, 전남의 여수·순천시, 목포시·무안군, 경북 구미·김천시, 경남 창원·김해시, 제주·서귀포시 등 15곳 내외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개발 유형은 ‘대도시 중심형’과 ‘네트워크 도시형’으로 나뉘는데 대도시 중심형은 부산·대전권 등 광역시 중심의 도시권이다. 네트워크 도시형은 순천·여수·광양처럼 1개 또는 2개 도시의 인구 규모와 도청소재지 등 중추 기능을 공유한 지자체의 생활권을 묶는 것이다.
국토부는 도시재생, 도시재정비촉진, 노후산단 재정비, 도시첨단산단 조성, 광역도로 건설 등 소관 19개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을 통해 중추도시권을 육성하게 된다. 새로운 개발방식 도입보다 정부가 내년부터 중점 추진할 개별 사업을 중추도시권에 우선 배정해 사업 효과를 높이겠다는 생각이다. 광역도로나 철도 등 중장기 계획에 따라 추진하는 사업은 중추도시권에 우선 지원한다.
국토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도시별 발전계획안을 제출받아 2015년부터 시범사업을 지원해나갈 계획이다. 우선 내년은 정부예산안 2조7000억원 중 10∼20%를 중추도시권 육성에 지원키로 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