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시-지역시민단체 ‘순천만 보존’ 입장차 커
입력 2013-11-04 16:22
[쿠키 사회]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성공 개최로 도시의 위상을 드높인 전남 순천시가 순천만 생태계 보존을 놓고 연일 시끄럽다.
순천환경운동연합 등 지역의 30여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순천만지키기 시민회의’(이하 시민회의)가 지난 달 30일 순천만 생태계 보전에 관한 조례 청구 주민발의를 위한 서명운동에 돌입했기 때문이다.
시민회의는 4일 방문객 증가와 해안쓰레기 방치, 유입수계의 오염 등으로 순천만 갯벌생산성이 70%이상 줄고 종 다양성이 감소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시가 생태관광의 원칙을 무시한 관광실적 쌓기에만 치중하고 있어 조례 제정에 나서게 됐다고 밝혔다.
시민회의는 “순천만 인근 마을에서 하수처리 되지 않은 농약과 폐수가 그대로 갯벌로 흘러들고 있고 갈대의 극상상태 도달 등으로 인한 심각한 육지화로 인해 순천만은 향후 10년 후 시의 자랑이 아닌 생태도시의 오명으로 남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연안지역 주민들이 상시적으로 순천만 보호를 위한 모니터링 체계를 갖추도록 지원하는 내용의 ‘순천시 순천만 갯벌습지보전을 위한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조례안’ 제정에 나서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하지만 시는 순천만 주변지역의 생태마을 가꾸기 사업, 순천만 자연생태계 모니터링 사업을 포함한 이번 조례안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시는 먼저 순천만 주변지역 지원이라는 모호한 문구로 인한 지원 마을범위가 불분명하고 주민의 개인 주택 등 주거환경 개선 사업비 집행으로 인한 주민 간 위화감이 조성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시는 특히 방문객 증가로 인해 순천만의 생물종 다양성 감소에 대한 시민사회의 주장은 객관적 근거가 없으며, 향후 감소 요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해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내년 12월까지 순천만생태환경조사 및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용역을 실시 중에 있으므로 결과가 나온 이후 순천만 갯벌습지보전을 위한 주변지역 지원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말했다.
한편 주민발의를 통한 조례 제정 청구는 순천시 거주 유권자의 2%(5218명)이상의 서명을 3개월 이내에 받아야 한다.
순천=국민일보 쿠키뉴스 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