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30일 여야 원내지도부 3+3 회동 했다

입력 2013-10-31 22:24

여야 원내 지도부가 재·보궐선거가 실시된 지난 30일 만찬 회동을 하고 대치정국 해소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31일 확인됐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 김기현 정책위의장,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와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 장병완 정책위의장,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는 30일 서울시내 모처에서 만찬을 함께하며 정국 현안과 국정감사 이후 국회 운영 계획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번 3대 3 회동에서 여야 원내지도부는 국감 이후 처리를 원하는 법안들을 각각 제시하고 합의처리 여부를 타진했으나 구체적인 성과를 거두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정보원 등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의혹 등 현안에 대해서도 논의했으나 여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은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와 책임자 문책이 이뤄져야 여권의 국정 운영에 협조할 수 있다는 뜻을 전달했고, 새누리당은 대선 불복 움직임을 중단하고 민생 국회를 가동하자고 맞선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국감 이후 다뤄질 법안 처리와 예산심사 등에 대해 민주당의 협조를 구하는 자리였다”고 말했다. 전 원내대표는 “현안에 대해 서로의 입장을 교환했고 특별한 진전이 있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국정원 개혁안을 심의할 기구에 대해서도 이견만 재확인했다는 후문이다. 새누리당은 국회 정보위에서 심의할 것을, 민주당은 국회 특위 신설 입장을 고수했다.

여야 지도부는 가능한 한 회동과 협상을 자주 갖는 등 긴밀한 협의를 이어가자는 데에는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 원내대표와 전 원내대표는 각각 양당의 비공개 회의에서 회동 결과를 각각 보고했다. 최 원내대표는 “낙관적으로 희망을 갖고 협상을 계속한다면 잘 풀리지 않겠느냐”고 보고했고, 전 원내대표는 “여당을 상대로 선거개입에 대한 우리 입장을 다시 한번 정리해줬다”고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야 모두 부인하지만 이번 회동에서 정쟁 중단을 위한 모종의 합의가 이뤄졌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하윤해 엄기영 기자